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전체메뉴
닫기

현장연구

학교현안 분석을 통해 현장요구에 맞는 과제를 선정하고 현장교원 중심으로 수행되는 연구

현장연구 상세 항목
제목 [서교연 2023-39] 2023 현장연구 결과보고서(서울교육형 미래도서관 기능 정립을 위한 공공도서관 업무 재구조화 방안)
작성자 방희경 작성일 2024-02-07
공공누리적용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가) 창작한 [서교연 2023-39] 2023 현장연구 결과보고서(서울교육형 미래도서관 기능 정립을 위한 공공도서관 업무 재구조화 방안)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미리보기 파일확장자 아이콘 [서교연 2023-39] 2023 현장연구 결과보고서(서울교육형 미래도서관 기능 정립을 위한 공공도서관 업무 재구조화 방안).pdf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은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시민과 함께해 왔다. 그러나 전례 없는 속도로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공공도서관은 미래도서관으로의 변혁이 필요한 시점에 놓여있다.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평생학습관은 교육청 도서관의 역사를 이어 나감과 동시에 서울미래교육을 지원하는 서울형 미래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도서관 기능을 도출하고 공공도서관의 직무를 재구조화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미래사회 변화와 관련된 문헌 연구를 시행하고 도서관 통계분석 및 문헌연구, 법령조사를 통해 현황을 조사하였다. 문제점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해 현재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평생학습관의 위상, 사회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공공도서관에 요구되는 새로운 직무와 현재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직무를 비교,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에 요구되는 새로운 역할에 따른 구체적인 직무와 현재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직무를 비교하고, 서울교육형 미래도서관 기능 정립을 위한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3. 연구 내용
급변하는 세계 사회적 환경에 따른 도서관의 기대역할 변화를 다룬 문헌과 미래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미래사회에 적합한 공공도서관 기능을 연구하였다. 또한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평생학습관의 현황분석을 위해 22개 관의 연도별 실적이 종합, 수록된 도서관보를 토대로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도서관 운영 실적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평생학습관의 업무 분장을 비교, 분석하고, 현재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사서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미래도서관 기능에 따른 도출된 직무와 현재 공공도서관·평생학습관 직무모형을 비교한 후, 공공도서관의 미래직무모형을 제시하였다.
 
4. 연구 결과
미래 공공도서관은 다음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첫째, 공공도서관은 미래사회에 적응해야 할 학생·시민을 위해 다양한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제공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포용, 평등 등 공공의 가치 확산을 위해 정보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에게 특화된 다양한 교육활동을 제공하고 지역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등 지역 특성화 서비스를 적극 개발해야 한다. 넷째, 앞으로의 공공도서관은 친환경 도서관 운영과 친환경 교육활동 등을 통해 친환경 가치 확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서울시교육청 공공도서관·평생학습관의 고유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도서관 비이용자를 독서인구로 유인하는 방식으로 자료이용 활성화를 도모해야 하고, 둘째, 전통적인 개념의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뛰어넘는 새로운 문해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며,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새로운 주제의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직무실태 조사와 직무 관련 사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공공도서관의 미래직무모형을 제안하였다. 9개의 대영역, 24개의 세부 영역 아래 70개의 직무를 제시하면서, 44개의 중요직무와 16개의 일반직무, 10개의 신규 직무로 구분하였다. 또한 현재 직무모형에서 비대면 대출, 이동·순회문고 영역을 제거하고 특수계층 서비스를 정보소외 계층 서비스로 변경하였으며, 이용 교육 영역에 신규 직무로 정보 리터러시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정보소외 계층 서비스 영역에 장애인 대상 서비스’, ‘노인대상 서비스’, ‘다문화가족대상 서비스를 추가하였다. 독서문화활동 영역의 신규 직무로 조기 리터러시 교육’, ‘성인 리터러시 교육, 평생교육활동 영역에는 지역특성화 교육’, ‘친환경 교육을 신규 직무로 추가·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래직무모형은 단순 나열식의 직무모형이 아닌 중요직무와 일반직무로 구분된 다층적 모형이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5. 정책 제언
본 연구의 미래직무모형을 공간 리모델링을 통한 도서관 기능 및 인력 재배치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함
다만 모든 도서관에 동일하게 적용할 것이 아니라 개별 도서관의 규모와 지역적 특성, 특히 인력 규모를 고려하여 조정 후 조정해야 할 것임
미래도서관의 직무 수행을 위한 업무, 과업 등 구체적인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
  • 담당부서   교육정책연구소
  • 담당자   정윤숙
  • 전화   02-3111-30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