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서울 혁신교육 10년의 전개 과정을 고찰하면서, 서울 혁신교육 정책의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음. □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10년간 다음과 같은 정책을 혁신교육 정책 범주 안에서 시행해오고 있음. [1] 혁신교육 중심 사업 1. 서울형혁신학교 2. 혁신교육지구 3. 민주시민교육 4. 학교자율운영체제 [2] 현장 기반 혁신교육 일반화 정책 5. 교육과정-수업-평가 혁신 6. 학교 공간 디자인 7. 교육복지 및 교육 공공성 강화 사업 [3] 혁신 정책 기반 시스템 구축 8. 교원정책 9. 교원 연수 10. 행정 혁신 11. 학교회계 □ 본 연구에서는 다음 틀을 활용하여 상기 11개 정책을 분석하였음. 1. 정책 문제 2. 정책 목표 3. 정책 내용 4. 정책 해석 5. 주체의 창조 6. 혁신교육 담론 7. 유관 정책의 구조 □ 지난 10년간 서울 혁신교육 정책은 교육감 교체, 정권 교체 등 매우 불안정한 정책 환경에서 시행되어 왔음. 다만, 세계사적 변동은 서울 혁신교육의 지향이 타당한 것이었음을 보여주었음. □ 서울 혁신교육에 대하여 언론은 ① 혁신학교에서의 교육은 학생을 중심에 두고 학부모 참여를 보장하고, 참여 할동 프로젝트를 강조하여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자 하며, ② 교육청은 혁신학교를 지정하여 예산을 지원하고 확대하고자 했으나, 대학입시에 잇점이 없고 학력이 낮다는 비판을 받았다. ③ 한편, 혁신학교 지정에 따라 해당 지역의 학군에 대한 수요층이 두텁게 형성되고, 부동산 가치 상승 여력이 증가한다는 사실도 보도되었음. □ 서울 혁신교육 정책 10년 동안 다음과 같은 성과를 거두었음. 1. 교육의 공공성 기반 구축 2. 학생 청소년에 주목하기 시작 3.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태도의 변화 4. 학교 및 교육행정 운영의 민주성 제고 5. 지속적 혁신의 담론적, 물적 기반 구축 □ 향후 서울 혁신교육 정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함. 1. 교직원 인사 정책 변화 2. 학생 성취의 출구 관리 기제 확립 3. 학교 자율 운영 재개념화와 교장 리더십 확립 4. 새로운 수업과 새로운 평가에 대한 실증 분석 5. 학습복지 강화 6. 혁신학교 조정 전략 7. 혁신교육지구 사업 조정 전략 8. 행정 혁신 적극화
2021-01-19학교평가 운영 등과 관련하여 업무보조원 채용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1. 채용 인원: 1명 2. 채용 기간: 2021. 2.16.(월)~ 2.26.(금) 3. 담당 업무 - 2021 학교평가 조직진단시스템 운영 업무 지원 - 2021 학교평가 제반 업무 지원 - 기타 기획평가부 관련 업무 등 4. 세부 내용: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업무보조원 채용공고문.hwp
2021-01-192020 서울교육연구년 최종보고서입니다. 첨부파일에 개인연구와 공동연구로 나누어 업로드 되었습니다.
2021-01-18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역량 함양을 목표로「2020년 학교도서관진흥시행계획」을 발표하여 내실 있는 독서교육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으며,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도 교육청의 기본 취지를 반영하여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프로그램들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비율은 2%에 그쳐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 모색이 시급한 실정이다. 영유아시기 도서관에서의 독서경험은 영아에게는 문해환경을 처음으로 접하게 하고, 유아에게는 형식적인 학교 교육을 준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되며 책과 함께 하는 흥미로운 놀이와 새로운 분야의 책을 접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생애 첫 독서교육 공공서비스 기관으로서의 역할 재정립을 위해, 교육청 공공도서관만의 정체성을 가진 서울형 영유아 특성화 프로그램 모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유아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브랜드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2. 연구 방법 및 내용 서울시교육청만의 정체성을 가진 영유아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국내외 선행사례 분석 후 교육청 공공도서관 20개소 방문 인터뷰를 통해 영유아실 구성, 시설, 인적자원 등의 현황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요구조사(전문가 인터뷰, 설문조사, 심층인터뷰)에서는 영유아 전문가, 어린이실 전담 사서,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자, 학부모 중 각 수행 목적에 따라 적합한 대상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 아이 첫 독서학교, FIRST.L 모형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집단을 대상으로 2회의 시범적용 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시교육청 연구협력관, 교육청 사서 집단, 서울시 소재 유아교육기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공청회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 내용과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3.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우리 아이 첫 독서학교, FIRST.L은 First I Reading School bridge to Library의 약자로 도서관으로 이어지는 아이의 첫 학교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본 프로그램은 도서관에 대한 친근감 향상, 책 읽는 습관 형성, 창의사고력 증진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도서관이 아이의 첫 번째 독서학교로서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독서와 놀이, 체험 활동을 통해 인지언어 및 신체발달뿐만 아니라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운영 프로세스는 ① 본 프로그램의 주제중심 키워드에 따라 영유아 추천도서목록을 선정한다. ② 추천도서를 이용한 Basic 프로그램을 독서, 놀이, 체험활동으로 구성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가정/기관에 제공한다. ③ 가정유아교육기관연계활동 프로그램을 꾸러미와 함께 배부하여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서 선정을 위한 주제는 생활주제(생활, 자연, 국가, 과학기술, 환경) 5개 영역과 인성주제(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 6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로써 사서는 월간 주제도서를 선정하여 BASIC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관별 홈페이지를 통해 가정과 기관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는다. 그리고 도서관에서의 독서놀이체험 활동을 제공 후, 가정과 기관으로 연계확장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4. 중장기 운영방안 ① 서울시교육청은 기관연계 활성화를 위해 교육청 소속 병단설유치원과 연계를 지원하여 FIRST.L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 또한, 지역구 육아종합지원센터와의 협약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주제별 FIRST.L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제공함. ② 서울시교육청은 지역별 유아, 아동 관련 학과가 소재한 대학교와 MOU를 맺어 학과 학생과 졸업생을 인력을 활용하여 FIRST.L 프로그램 운영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함. ③ 서울시교육청은 프로그램 홍보를 실시하여 특성화 프로그램으로서 FIRST.L을 브랜드화하고, 주제도서의 일부를 온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작권 문제를 조율하도록 함. ④ 교육청 차원에서 역량 있는 강사풀과 다양한 자원활동가 풀을 지원하여 영유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있는 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 장기적으로는 시설지원의 필요가 있음. 5. 정책제언 ①【 2021-2022년 기반구축기 】영유아기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창의사고계발 기법 적용, 도서관 장서 기반 주제도서 선정, 도서관별 FIRST.L 모형에 근거한 프로그램 재구성을 함. 사서부모자원활동가 교육, 영유아실 공간과 시설 개선,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브랜드화함. ②【 2023-2025년 성과 확산기 】기반 구축기의 수행 내용 심화 및 각종 기관과의 연계 확대,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서부모자원활동가 연수 실시 및 정책적 지원 마련, FIRST.L을 공공도서관 특성화 프로그램의 근거로 하기 위한 브랜드 사업으로 확대 실시. # 연구결과물 중 하나인 [부록]FIRST.L 프로그램 매뉴얼은 업로드 용량 초과로 문헌정보실(우리원 3층)에 비치된책자 참조
2021-01-142020학년도 컨설팅장학지원단 컨설팅 사례집을 다음과 같이 탑재하오니, 각급 학교 및 기관에서는 컨설팅장학시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가. 자료명:『2020학년도 초중등컨설팅장학지원단 컨설팅 사례집』 나. 활용 방법 1) 단위학교: 2021학년도 컨설팅장학 계획, 시행시참고 2) 기관: 학교 현장 맞춤형 지원 방안 수립에 활용 3) 컨설팅장학지원단원: 학교현장 지원 전문성 역량 제고 자율 교재로 활용
2021-01-14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200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지원과의 주된 정책 과제로 실행되고 있는초3~6 협력적 창의지성ㆍ감성 교육과정(이하 [꿈실]) 운영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속발전가능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초3~6 협력적 창의지성ㆍ감성 교육과정은 서울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학생참여선택활동과 협력적 프로젝트 활동 중심의 교실 혁신 정책이다. 특히 혁신학교의 성과를 반성적으로 수용하고, 학교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상향식 혁신(bottom-up innovation)의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년차에 접어든 [꿈실]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고 향후 발전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꿈실] 교실 혁신 정책의 실행 성과분석을 위하여 정책체계(Policy System)의 차원에서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평가, 환류의 측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형성집행평가환류의 순차적 측면과 아울러 학교현장의 안팎의 상황과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따른 영향 등도 함께 살피고자 하였다. 정책연구를 위해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고, 설문조사, 본청 자문단 및 교육지원청 현장지원단 FGI(Focus Group Interview), 교장, 교사, 교원전문직 등과 함께 전문가협의회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였다. 3. 연구 내용 2020학년도 [꿈실] 정책의 변화 지점을 분석하고, [꿈실] 운영 교사들의 운영 실태를 학급수, 공모주제, COVID-19로 인한 주제 및 예산 변경 사례를 분석했다. [꿈실] 운영 교사들의 인식 분석은 운영 동기, 학생참여선택활동과 협력적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 학습자의 변화 양상, 운영 교사의 변화 양상, 차기년도 신청 의사 등을 살폈다. 본청 자문단과 교육지원청 지원단의 활동과 개인 운영 및 팀 운영 사례를 분석했다. 4. 연구 결과 2019~202학년도 [꿈실] 운영의 성과는 첫째, 프로젝트학습의 저변확대에 기여하였다. 2020학년도의 [꿈실] 운영학급수는 5674학급(1550팀)으로 작년보다 2376학급이 늘어난 수치이다. COVID-19 상황에서도 주제와 예산 변경없이 [꿈실]을 운영한 교사가 대부분이었다. [꿈실] 운영계획서 내용에서도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생들이 등교수업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급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꿈실] 활동이 전화위복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현장 교사들의 협력 문화를 성장시켰다. 2020학년도 [꿈실] 운영 교사의 60%가 동학년을 포함한 주변의 권유로 시작하였으며, 운영 후에도 만족감도 높았다. 차기년도 운영 희망 여부도 2019년도의 87.0%에서 90.7%로 상승했다. 셋째,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성이 신장되었다. [꿈실] 운영 교사들이 관찰한 학생들의 변화로 자신감과 내적 동기 향상, 협업능력이나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넷째, 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신뢰감이 확산되었다. 공문이나 안내자료를 보고 [꿈실]을 신청한 교사들보다 동학년의 권유와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꿈실]을 운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특히 교사들이 [꿈실]에 대한 인식은 기회, 가능성, 즐거운, 자유, 소통, 행복, 도전 등과 같은 긍정적인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예산 사용의 수월성을 확보하거나, 운영학급 상황이나 주제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대한 요구도 의미있는 제안으로 도출되었다. 2019학년도 [꿈실] 운영은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인식하는 출발점이자 도약발전을 위한 교두보였다면, 2020학년도는 프로젝트학습의 가치를 인식하고 교사들의 교육철학이나 태도를 변화시키는 내면화의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5. 정책제언 ① [꿈실] 지원 학급 확대를 통해 학교현장의 협력적 교사 문화를 정착발전시켜야 함. ② 교사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넛지(Nudge) 방식 지원을 강화해야 함. ③ 프로젝트학습에 따른 피드백 방법과 학생참여형 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④ 교실의 물리적 환경 변화와 원격수업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함.
2021-01-14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문화와 언어체험에 중점을 두는 미래형 교육공간의 창출을 목표로, 가평에 위치한 글로벌문화언어체험교육원(glee)의 새로운 운영체제 구축과 발전적 운영방안 및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제시하는 데에 있다. 영어중심의 교육기관이었던 가평영어교육원이 글로벌문화언어체험교육원으로 조직 개편이 되면서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의 정립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문화와 세계시민교육을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교육 공간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학교밖 다문화 및 세계시민교육 공간의 요구,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로운 형식의 교육에 대한 고민과 실천의 요구 등에 부응하는 교육기관으로서 glee의 청사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2.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현황파악, 사례조사, 문헌분석, 인식 및 요구조사, 전문가 포럼을 활용하였다. 국내외 유사 교육기관 운영현황조사 및 관련 자료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문화 역량과 세계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인 문화언어체험 교육의 방향과 미래형 교육기관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인식 및 요구조사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전문가포럼을 개최하여 성공적인 glee로서의 발전 방안의 도출을 도모하였다. 3. 연구 내용 미래형 문화언어 체험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glee가 수행해야할 핵심 역할을 파악하고 glee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또한 glee가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을 아우르며 동시에 미래교육의 새로운 공간이 되기 위한 조직 체제의 구축방안을 탐구하고 환경, 시설, 교육프로그램 등을 망라하는 발전적 운영방안을 구체적으로 탐구한다. 끝으로, 향후 glee의 위상제고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중장기계획 및 후속연구 주제를 모색한다. 4.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의 중심(hub)으로서 glee의 정체성을 제언하며, glee가 선제적으로 가진 인프라의 분석을 포함하여 본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언어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체험형 세계시민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방점을 둘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일반학생 뿐 아니라 차별화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외국 출생 다문화학생을 위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언한다. 또한, 초중등 교원의 세계시민교육 연수 및 힐링의 공간으로 활용을 제언한다. 새로운 glee의 조직구성 및 운영체제는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첫째, glee가 서울특별시교육청 직속기관으로 독립하여 인력 및 예산을 적절히 지원받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인력 외부공모, 자문위원회 구성, 역량강화 연수 등을 통해 전문적 인력을 확보하고 구성원의 역량개발에 힘써야 한다. 셋째, 현 조직을 교육부서, 행정부서, 대외협력부서로 개편하여 각 부서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한편, 협업의 문화를 정착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 생태, 기술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다양한 교육 플랫폼과 첨단 기술 장비(AR, VR, 인공지능 등)를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 미래형 세계시민교육 공간으로서 glee의 공간구축과 프로그램의 구성 예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5. 정책제언 1)glee가 현 학생교육원 분원이 아닌, 세계시민교육을 담당하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직속기관으로 독립하여 인력과 예산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함. 2)glee에서 중도입국생의 한국적응을 위한 집중교육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위탁 교육기관으로서 지정되어야 함. 3)glee의 운영자 및 구성원의 전문성강화를 위해 원장공모제, 전문지식을 갖추고 역량과 관심을 가지 자로 직원 고용 등의 제도적 변화가 필요함. 4)glee의 로드맵으로 제시한 구축기 (2020~2021년), 내실화 (2021~2023년), 국제화 (2023~2025년) 각 단계에 걸맞은 성장을 위한 정책연구 지원이 필요함.
2021-01-1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의학기술의 발달로 과거에 생존하지 못했던 많은 소아청소년들이 생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수의 이런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 이중 완치되지 않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학생들도 다수가 있으며 이런 학생들은 기저의 신체적 질환으로 인해 학교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현장에서 지도하는 교사들도 이런 건강보호학생들에 대한 관리 및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학교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필요한 대표적인 질환들을 가지고 있는 건강보호학생들에 대한 평가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서식을 개발해 학교내의 보건교사, 영양교사, 담임교사, 체육교사에게 제공한다면, 이런 위험에 있는 학생들을 조기에 인지하고 올바른 처치를 함으로써 학생들을 위기상황에서 구조할 수 있고, 이는 학생 및 교사 모두가 평안하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장병 및 급사, 알레르기 질환,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위험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및 진단 받은 환자들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표준화 된 지도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구 방법 기존의 국내외 건강조사 설문지, 가이드라인,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진표/지도표를 개발하고 이에 대해 학교 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평가하였다. 3. 연구 내용 심장병 및 급사, 알레르기 질환, 당뇨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문진표/지도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해서 학교 보건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학교 현장에서 건강보호 학생들을 관리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과 향후 필요한 점들에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4. 연구 결과 심장병/돌연사 위험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학교활동관리 지도표, 아나필락시스 위험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학교생활관리 지도표(알레르기 질환용), 당뇨 위험 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학교생활관리 지도표(당뇨용)을 개발하였으며, 응급심폐소생술의 중요사항과 아나필락시스의 응급처치, 고혈당/저혈당 응급처치 대응 지침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해 보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문진표/지도표에 대한 이해도, 유용성, 만족도에 대하여 평가하고, 피드백을 통해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5. 정책제언 ① 향후 본 연구의 표준서식지가 완성되고 검토를 거쳐서 각 학교에 제공되면 이를 활용하여 2차적으로 전문기관과의 연계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음. ② 학생-학교-전문기관을 연계한 복합적 건강보호 학생 관리 체계의 완성된 형태를 추후 모색해야 함. ③ 학교에서 건강보호 학생들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해당학생의 질병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해당질병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 ④ 교사들의 건강보호 학생 관리의 가장 어려운 점은 인력과 공간 부족으로 이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함.
2021-01-1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직업구조의 다변화를 가져와 진로교육의 중요성과 변화를 요구한다. 청소년의 진로교육은 청소년기 주요 발달과업인 진로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및 국가의 인적자원경쟁력과도 연결된다. 우리나라는 2015년 진로교육법이 제정되면서 진로교육에 대한 정책사업이 크게 확대되었다. 법을 기반으로 한 국가 차원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은 진로교육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그만큼 진로교육 정책의 방향성과 실행을 점검해야 하는 필요성도 함께 커졌다. 이에 따라 그동안 진행되어 온 진로교육 활동의 실효성과 함께 진로교육 정책 효과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므로 진로교육 및 정책에 대한 인식 제고와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진로교육 정책 현황을 점검하고 다양한 서울진로교육 활동의 성과와 개선방안을 분석하여 향후 진로교육 정책의 현장 적합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기존 진로교육 정책의 현황 분석과 효과성 검증을 통해 진로교육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진로교육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여 향후 진로교육 운영계획을 수립하는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학술논문, 보고서 등을 통해 2020학년도 서울진로교육 활성화 계획의 내용과 진로교육 효과성 및 설문조사를 위한 측정지표에 대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2020학년도 서울진로교육 활성화 계획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설문조사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토를 위하여 학교 진로교육의 현장 전문가인 초중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고등학생과 학부모,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서울진로교육 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참여도, 만족도 및 효과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 연구 내용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0학년도 서울진로교육 활성화 계획을 바탕으로 정책을 검토하였다. 둘째. 진로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2020학년도 서울진로교육 활성화 계획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넷째,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로교육 인지도, 만족도, 효과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헌분석, 전문가 협의회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진로교육 정책의 활성화 방향성 및 후속연구 제언을 도출하였다. 4.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20학년도 서울진로교육 활성화 계획의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가 협의회 결과 서울 진로교육의 목표와 중점과제 연계에 대하여 3가지 개선방안이 도출되었고, 각 중점과제 별로는 중점과제 1 체계적인 진로교육과정 운영에 대하여 6가지 개선방안, 중점과제 2인 체험-협업 중심의 맞춤식 진로교육 실시에 대한 7가지 개선방안, 중점과제 3인 진로교육 활성화 지원체제 구축에 대한 3가지 개선방안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서울진로교육 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별로 인지도와 참여경험, 서울시 진로활동 및 프로그램의 도움정도 인식, 참여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와 참여정도에 따른 진로성숙도 영향이 파악되었다. 교사의 경우 초등교사와 중등 일반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별로 서울시 진로교육 정책 사업 인지도와 참여경험, 학생 진로역량 도움정도 인식과 참여정도가 인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파악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중고등학생 학부모의 서울시 진로교육 정책 사업 인지도 및 참여경험, 자녀 진로 진로교육 도움정도 인식과 참여정도에 따른 인식 수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5. 정책제언 ① 서울시교육청에서 주관하는 프로그램 중 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이끄는 현장진로직업체험 「청진기」, 진로멘토링,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의 운영에 대한 양적-질적 확대가 필요함. ② 학생의 진로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진로성숙도 성취를 돕는 진로활동 및 프로그램을 학교급 수준에 맞게 개발해야 함. ③ 교사의 진로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활동과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해야 함. ④ 연구학교의 운영을 다각화하고 적극적으로 운영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일원화된 창구를 마련해야 함.
2021-01-1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서울시교육청은 학교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행정 혁신 추진 과제를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2019년 3월에 11개 교육지원청 내에 독립된 역할을 수행하는 학교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하여 현재까지 운영해오고 있다. 학교통합지원센터 설치 후 1년 동안의 성과 평가를 보면(박대권 외, 2019), 기존의 교육지원청이 보이던 관료주의적 접근을 넘어서 학교현장에서 요구하는 사항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인식들이 확산되고 있었고, 전반적인 이용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또한 2020년 시작되는 교육지원청별 학교통합지원센터의 학교폭력 심의결정 등에 대한 업무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학교현장지원에 대한 역할 요구도 보다 다양하고 강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학교통합지원센터는 보다 정교한 학교지원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다. 효과적이고 내실 있는 학교지원의 학교통합지원센터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진단이 요구되는데, 체계적인 진단은 진단 지표의 개발을 통해 학교통합지원센터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종합적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통합지원센터 운영의 체계적인 진단을 통해 학교통합지원센터 조직과 운영의 타당성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 면담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학교업무경감 및 타시도 학교지원조직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고, 사례연구에서는 학교통합지원센터 목표, 조직, 운영, 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교육지원청 및 학교 구성원 대상 센터 운영 및 발전 방안 등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분석하였고, 면담조사에서는 학교통합지원센터 및 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센터 운영 및 설문조사 결과 해석 등을 위해 면담을 실시?분석하였다. 3. 연구 내용 연구 내용으로는 학교통합지원센터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학교통합지원센터 운영 진단을 위한 설문조사 분석 및 시사점 도출, 학교통합지원센터 운영 진단을 위한 FGI 분석 및 시사점 도출, 학교통합지원센터 조직 및 운영 개선 방안 제시 등이다. 4. 연구 결과 첫째, 학교통합지원센터 운영 현황 분석 결과, 학교통합지원센터 조직 및 운영 측면에서 공통 요소도 있지만 각 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별로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학교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하기 보다는 각 교육지원청이 처한 교육적사회적 환경과 지역적 맥락을 고려하여 학교통합지원센터를 조직, 운영하는 편이 타당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육지원청 및 학교 구성원 대상 설문조사 분석 결과, 교육지원청 구성원들은 센터 업무에 대한 높은 필요성, 학교업무정상화에 상당한 기여, 추가 지원업무 발굴 필요 등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 구성원들은 센터 업무 지원에 대한 높은 만족도, 학교급별로 차별화된 지원 희망 업무 등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집단면담(FGI) 분석 결과, 학교통합지원센터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강화, 학교통합지원센터의 업무 특성을 잘 반영하여 유연한 운영의 묘 발휘, 학교통합지원센터의 안정적 인력 구성 및 전문성 강화, 교육활동 행정지원팀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고민, 학교 사안 관련 초중등교육지원과와 유기적 연계를 위한 협업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5. 정책제언 ① 학교통합지원센터 조직 및 운영 개선 방안 제시를 위한 기본 전제로는 학교통합지원센터 목적의 재설정, 증가하는 업무에 대응, 공통적 개선 방안 제안, 중단기적 개선 방안에 초점 등을 제시함 ② 조직 차원 개선 방안으로는 교육지원청 내 학교통합지원센터의 조직 재구성, 학교통합지원센터 내부 조직 재구성, 학교통합지원센터 인력 보강, 위원회 조직 활성화, 학교통합지원 추진단 구성, 장기적으로 교육지원청의 학교통합지원센터화 등을 제안함 ③ 운영 차원 개선 방안으로는 중점 업무 강화, One-stop 학교지원 강화, 업무의 재구조화, 학교급별 맞춤형 업무 지원 강화, 업무 처리 매뉴얼과 역량 강화 등을 제안함
2021-01-112020.12.18. 개최한 서울 학생 방과후활동을 새롭게 디자인하다(하반기 교육정책 포럼 공모) 포럼 자료집을 업로드합니다.
2021-01-072020 서울교육정책연구소 국내외학술교류 사업 순 일시 포럼 명 자료집 및 유튜브 주소 1 1. 30. 18세 선거권 시대의 의의와 과제 자료집 하단 첨부 2 5.14. 교육체제 전환의 길 시간이 길어 3편으로 편집 1: https://www.youtube.com/watch?v=wt0dE07WRk0 2: https://www.youtube.com/watch?v=9QYWzOVrKBc 3: https://www.youtube.com/watch?v=tc9ZassSPm0 3 6.24. 학교문화예술교육 중장기 계획 (상반기 교육정책 포럼 공모)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z5nxTdoyaSU 4 7.6.~7.7. 2020 서울교육 국제 웨비나 유튜브 1일차: https://www.youtube.com/watch?v=Dvt9vlAaKoE 유튜브 2일차: https://www.youtube.com/watch?v=OziEU1PHGas 5 9.26. 교육학술 4개 단체 연합 학술 행사 자료집은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등에 학회 회원가입 필요(줌으로 실시함) 6 10.29.~10.30. 서울국제교육포럼 유튜브 1일차: https://www.youtube.com/watch?v=qQsurrDMCYs 유튜브 2일차: https://www.youtube.com/watch?v=o_Kk2dJbQCw 7 11.14. 한국교육인류학회와 공동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육인류학회에 학회 회원가입 필요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ypNUaqDws6Q 8 12.18. 서울 학생 방과후활동을 새롭게 디자인하다(하반기 교육정책 포럼 공모) 자료집 하단 첨부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kSxOw240CXc
2021-01-07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우리는 4차 혁명시대에 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소용돌이 가운데에서 실감형 콘텐츠는 ICT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5G 전략에서 선정한 10 대 핵심 산업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는 실감형 콘텐츠 분야 중 교육 분야에 대한 정보 지원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2017년 교육에 대한 구체적 활동이 정부 주도하에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교육부는 자율주행자동차, 화성탐사로봇 등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하여 2017년 10월부터 전국 17개 중 고교에서 시범운영하였으며, 디지털 교과서 연계 약 110종을 시작으로 2019년부터 실감형 콘텐츠를 VR/AR/360도 영상으로 확대하여 서비스 중에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콘텐츠는 장애학생의 바리스타 교육을 위하여바리스타 실감형 직무체험콘텐츠가 유일무이하다. 실감형 콘텐츠는 ICT를 기반으로 인간의 감각기관과 인지 능력을 자 극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 및 가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므로 장애학생의 더 디고 낯선 환경으로부터 빠른 시간에 적응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실감형 콘텐츠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보고 듣고, 만지고 공감할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로 이러한 실감형 콘텐츠가 장애학생의 장애종류와 장애정도에 따라 학교 현장 보급할 수 있는 실감형 콘텐츠 설계와 개발 연구를 위한 현장 연구가 필요한 이유이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9년까지의 사례 중 실감형 콘텐츠의 대표적인 기술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홀로그램, 오감미디어 등을 분석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설계 기준을 마련하여 온택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실감형 콘텐츠를 설계 및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실감형 콘텐츠 설계를 위한 교사, 학생 설문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요구 분석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설계 요소 구성, 장애학생을 위한 콘텐츠 개발(설계, 제작(촬영, 편집), 매뉴얼 제작을 제작하였다. 3. 연구 내용 가. 장애학생을 위한 콘텐츠설계 1) 보편적 학습설계를 기반으로 콘텐츠 설계를 위한 요소 분석 2) 콘텐츠 개발을 위한 설계요소 구성 나. 장애학생을 위한 콘텐츠 개발 1) 문화예술, 인문사회, 정보과학, 진로직업 360도 VR 콘텐츠 개발 및 제작 2) 누구나 쉽고 멋지게 만들 수 있는 콘텐츠 개발 및 제작 매뉴얼 4. 연구 결과 가. 장애학생 수업용 콘텐츠 제작 특수학교(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애학생 수업용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나. 실감형 콘텐츠 활용 영역 수업을 위한 콘텐츠에 있어서 문화예술, 인문사회, 정보과학, 진로직업 영역의 예시형 자료로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다. 실감형 콘텐츠 개발 및 제작 매뉴얼 제작 교육공학 및 미디어를 전공하지 않아도 매뉴얼 따라 단순한 형태의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 할 수 있는 제작 매뉴얼을 완성하였다. 5. 정책제언 ① 장애학생을 위한 Ontact 콘텐츠를 중심으로 서울형 교수학습 설계 기준을 마련될 수 있도록 특수학교(급) 소속 교원 중심으로 선도 교사 및 교사지원단이 구성되었으면 함. ② 학교 현장에 보급할 수 있는 실감형 콘텐츠 설계 및 제작에 관한 멘토 교사 선발 및 선도 학교 선정 그리고 콘텐츠 제작할 수 있는 제작실(스튜디오)이 마련되었으면 함. ③ Ontact 수업에서의 콘텐츠 활용 교수학습 전략 및 설계와 제작을 위한 테크놀로지 관련 (직무, 자율, 세미나, 특강)연수를 통한 기회 제공, 교원의 동기유발 및 도전의식 고취가 될 수 있도록 정책이 마련되었으면 함.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이하 PYP)는 지식습득과 함께 학생의 성장, 감성, 사회성 발달을 위한 다양한 탐구 중심 체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서울형 PYP는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교과서 활용, 학교 교육여건 등을 고려하면서도 적용이 가능한 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학습 계획에서 초학문적 주제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진행에서 학습 탐구 방식 적용, 결과에서 학습 결과물의 전시회 등을 통한 새로운 교실수업개선에 연계될 수 있으며 특히, 수업혁신, 학습에 흥미가 부족한 기초학습부진학생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방안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IB PYP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수업혁신을 위한 국제 공인 PYP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통한 서울형 PYP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다.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국제 공인 PYP 프레임워크 적용을 통한 서울형 PYP 모델 구축이라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PYP와 맵핑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 둘째, 국제 공인 PYP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통한 서울형 PYP 모델을 어떻게 구축 할 것인가? 연구 방법은 문헌분석과 전문가 자문, 연수, 협의 등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PYP 교수?학습과정안은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받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검증되었다. 우선, PYP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PYP의 초학문적 주제 선정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 및 성취기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핵심아이디어 및 탐구 질문을 구성하여 관련 개념, 역량, 태도를 분석, 추출하였다. 3. 연구 결과 연구결과는 연구프레임 구성과 1-6학년까지 학년(군) 3개의 탐구학습 프로그램으로 정리된다. 가. 연구 프레임 구성 첫째, PYP 프레임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 틀을 구성하였다. IB 학습자상과 초학문적 주제 개관 학년군별 핵심아이디어의 계열화, 탐구질문, 주요개념, 관련 개념, 역량, 태도 평가 및 관련교과로 개관하였다. 둘째, 수업 탐구과정, 수업의 개요, GRASPS 수행과제 개발, 수행과제 평가기준, 교수학습의 흐름 등을 고려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연계시켰다. 나. IB 기반 초학문적 주제중심 탐구 학습 프로그램 개발 우리는 자신을 어떻게 표현할까라는 초학문적 주제와 사람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한다는 핵심아이디어를 기반으로 1-6학년 탐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학년군별 IB 학습자상과 초학문적 주제 개관; 학년군별 핵심아이디어의 계열화, 탐구질문, 주요개념, 관련 개념, 역량, 태도 평가 등, 관련교과 개관; 질문하기-탐구하기-구성하기-설명하기-행동하기 등, 교수학습 활동의 흐름; 수업 단계별 차시와 학습 주제 관련교과 안내 등, GRASPS 수행과제 개발 등으로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4. 정책제언 ① 서울교육에서 수업혁신은 서울교육의 성패를 가늠하는 척도가 됨. PYP 방식의 수업 스타일은 수업 방법 혁신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에 반영 할 필요가 있다. ② 학습자를 프로그램의 중심에 두고 학습자의 경험세계를 중시하는 PYP의 수업원리가 서울교육의 수업원리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PYP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하지만 궁극적으로 개인의 학습으로 귀결된다. 탐구 기반 학습을 통해 교사로부터 다양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확보되며 학습의 경제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③ 세계화된 시민의 기능과 태도를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함. 국제통용성과 세계화가 강조된 교육과정이 국가 경쟁력을 최대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미래사회로 발전해나갈수록 당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교육과정과 학교 운영 전반에 생태교육 마인드가 함께 한다는 의미이다. 기후변화,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미세먼지, 신종바이러스의 등장, 빙하의 해빙, 에너지문제, 멸종위기생물 등을 포괄하는 생태전환교육의 필요가 요구되는 시점에 그 내용을 지도할 교사는 아직 준비가 미흡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업이나 창의적 체험활동, 1학년 자유학년제 등의 활동에 직접 적용 가능한 자료를 학교 현장에 제공하고 교사들의 생태교육관련 인식 제고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 방법 연구 역할 1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진로 및 창체, 짝토론, 동아리 활동 수업 자료 개발과 활용 2 생태전환교육의 자유학년제 활용방안 연구 모색 3 지역사회와 연계한 지질 및 생태교육 자료 탐색 및 적용 4 에너지 부분관련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 현장연구팀 자체 역량강화 연수 진행 5 미니텃밭 운영을 통한 특수학급 생태전환교육 체험활동 운영 6 생태전환교육, 기후변화교육 이론적 배경 자료 제공 및 보고서 자문 3. 연구 내용 창덕여중, 금호여중,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영재교육원 학생 대상의 다양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생태 관련 체험활동을 진행하였으며(총 53회), 지역사회와의 협업 모색 및 진행 7회, 자체 역량 강화 연수 9회 실시를 통하여 생태전환교육 인식 제고를 높였다. 또한 책 발간 1회, 관련 발표 2회, 교사연수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하여 연구 내용 일반화과정을 진행하였다. 4. 연구 결과 만족도 조사 및 환경 다짐 작성, 설문조사 결과 만족도가 높고 생태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는 등 인식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세부내용은 보고서 참조) 5. 정책제언 ① 교사 연수 기회 및 제공 : 생태전환교육과 관련된 연수는 극히 소수이며 대부분 오래된 콘텐츠라 새로운 연수 개설 및 시도가 꼭 필요하다고 판단됨. 체험형 생태연수는 인기가 높으나 연수 횟수가 몇 번 되지 않고 연수생도 많지 않아 그 기회를 더욱 늘여주기를 희망함. ② 생태전환교육 운영 허브 지정 : 서울시교육청에 생태전환교육을 담당하는 부서가 신설됨을 계기로 예산지원,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교과 연계 혹은 교과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사례 제공, 자유학기제 연계 프로그램으로의 확대등을 체계적으로 매뉴얼화하여 안내해주기를 희망함. 서울시교육청 온라인 플랫폼에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을 포함해서 운영해주기를 희망함. ③ 생태전환교육 담당 보조인력 제공 : 수업과 동아리 활동 등에서 진행할 수 있는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에는 한계가 있고 교사의 또 다른 업무 증가가 되어서는 효과를 확보하기 매우 어려움. 시니어코디 및 은빛 교사단 등을 활용하여 생태전환교육 동아리 담당 등의 활동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해주기를 희망함. ④ 학교 관리 작업 지원 : 학교 화단이 생태전환교육을 시도할 가장 첫 번째 교재임을 고려하여 교육청 단위로 학교 식물 관리 작업을 담당할 작업자를 학교별 희망을 고려하여 지원해주기를 희망함. 특히 학교 화단에 생태계교란종이 제거 등의 작업에 일손이 부족한 경우가 많음. 또한 학교의 분리수거장이 위치적으로 가장 열악한 지점에 버려진 상태로 운영되는 형편임. 분리수거 교육이야말로 환경을 생각하는 실천적 체험과정의 시작이므로 분리수거장개선 예산 지원이 꼭 필요함.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최근 코로나19로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과 건강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학교에서 안전건강교육은 범교과 학습 주제로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고, 지역사회와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학교안전건강은 시설점검이나 안전환경 조성, 건강계획수립에는 어느 정도 기여하였으나, 안전건강교육에 관한 수업자료와 교수학습지도안의 개발은 부족하다. 즉, 2015 개정 교육과정 범교과학습 주제인 안전건강교육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한다고 적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교과에서 활용이 미흡하다. 창의적체험활동, 체육보건실과가정기술교과 등에서 안전건강 내용을 다루고 있으나, 교과에 따라 안전건강 내용이 잘 다루어지지 않기도 하고, 학교급별로도 안전건강 학습주제를 수업 중에 어떻게 교수학습하는지 등 상호교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교과 및 학교급별 교사들의 수업정보 교류가 요구되며, 특히 범교과 주제인 안전건강교육 교수학습설계 역량제고를 위한 연구의 개발과 확산대책이 필요하다. 더불어 안전건강 범교과 학습주제를 다루면서 동시에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중점적으로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 연구가 필요하다.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창의적사고역량, 심미적감성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 역량을 기르기 위하여 교사는 교수설계 역량을 길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역량제고 필요성에 부응하면서 교육과정 안전건강분야를 분석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자료를 활용하여 교육과정과의 일치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 후 분석과정을 통하여 실제 활용가능한 표준 지도안을 개발하여야 한다. 2. 연구 방법 가. 안전건강 문헌분석을 통해 안전건강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확인분석하였다. 나. 교수평 일체화를 위한 안전건강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개발을 진행하였다. 첫째, 학교급별 교수학습 개발을 위해 초등 연구진, 중등 연구진을 구성하였다. 초등은 안전건강 교과 및 단원이 설정되어 있어서 1명의 연구진이 맡아서 관련 교과와 창체에서 개발하였다. 중등의 경우, 안전건강 관련성이 높은 체육, 보건을 포함하였고, 다소 거리가 있어보이는 교과인 수학, 중국어도 참여하여 안전건강교육과의 연계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해보았다. 둘째, 교육과정 문해력을 통한 교수평기 일체화를 위해 연구진 회의를 수차례 진행하였다. 최초 회의를 진행할 때에는 안전건강 교육내용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2015 교육과정을 읽는 것부터 시작하였다. 셋째, 교수학습 지도안에 구성될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타학교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대면수업과 더불어 코로나19에 대비하여 원격수업도 고려하였다. 수업자의 의도와 수업 후 학습자들의 의견도 가급적 반영하려 노력하였다. 다. 내용분석을 통해 안전건강 교육내용을 연계하여 학교급별 교과별 안전건강 교수학습 설계를 개발할 수 있었다. 3. 연구 내용 가. 안전건강교육 교육내용 분석을 위하여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선행연구를 내용구성, 요소와 특징을 조사하고 활용가능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집 분석하였다. 나. 각급(초중고) 학교급별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개수업 또는 비공개수업에서 활용하는 지도안 수집과 분석을 통해 내용 연계성, 학교급별 내용특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다. 각급(초중고) 학교급별 안전건강교육 교수학습설계 이론과 현장 연계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본틀 선정과 역량기반 지도안을 실제 수업 활용 후 적용하였다. 라. 건강안전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의 활용방안과 주의사항, 고려할 점 등을 제시하였고 현장 활용성 제고를 위해 안전건강교육 수업 시 주의사항을 제시하였다. 4. 연구 결과 첫째, 안전건강교육을 위한 선행연구물 고찰을 통하여 내용, 구성요소, 원리 등을 연구진 교과와의 연계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관련 연구진은 학교급별로 구성하였다. 다만 연구의 제한점으로 참여 연구진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은 아쉬운 점으로 남아있다. 셋째, 연구진 회의를 통해 안전건강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관련교과 와 거리가 멀어보이는 수학과와 중국어과도 연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확인하여 교육과정설계, 교수학습설계, 교육환경설계를 연계하도록 하였다. 넷째, 수업자의 의도와 학습자의 참여의견을 반영하여 차후 연구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개발하였다. 5. 정책제언 첫째, 안전건강교육을 위한 지도안을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을 확보하여야 함 둘째, 개발된 자료를 기반으로 더욱더 정교화된 교수학습설계도 개발되어야 하며, 학생건강권의 실질적 확보를 위해 다양한 안전건강교육 교수학습 설계안이 요구됨 셋째, 학교급별, 교과별 계속성과 계열성을 유지하도록 추후 연구과제로 지속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교과 및 창체 등 교육활동 전반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야 함 넷째, 체계적 분석적이고 활용성 높은 지도안이 지속적으로 개발 확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을 위해 안전건강교육 능력개발 연수과정이 개설되어야 함 다섯째, 대면수업과 더불어 원격수업을 활용한 현장 적용성 높은 지도안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성찰하며 성장 발전할 수 있는 역량중심의 지도안 개발이 요청됨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AI 시대에도 인간의 고유한 능력과 가치 등은 계속 발현되어야 하고, 새로운 역량과 능력을 단련해야 한다. 교사 연수는 교사들의 생각, 가치관, 교육관, 현장 학교 변화와 발전에 핵심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이에 변화하는 교육 환경 속에,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기존에 우리가 익숙히 젖어있던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주제 중심 배움을 제시하고, 주제 중심의 배움을 도울 수 있는 구체적인 교사 연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초-중-고를 연계할 수 있는 교사 연수를 구체적으로 개발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주제 중심 배움이란 무엇인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 기존에 교육과정 차원에서 논의되었던 교육의 쟁점들을 배움과정 차원으로 논의를 전환하며 AI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가지는 학생들의 배움을 돕는, 새로운 교사 연수의 기반을 마련하는 혁신적 연구가 필요하다. 2.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주제 중심 배움 실천 교사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 전문가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AI 전문가 컨설팅, 개발된 연수 모델 실험 등이다. 3. 연구 내용 인공지능(AI) 시대 초?중?고 연계 주제 중심 배움을 돕는 교사 연수 필요 조사, 인공지능(AI) 시대 초?중?고 연계 주제 중심 배움을 돕는 교사 연수 구체화, 인공지능(AI) 시대 초?중?고 연계 주제 중심 배움을 돕는 교사 연수 일반화 4. 연구 결과 4차 산업 시대, 미래 교육을 위해서 학교는 학생들의 다양한 주제 탐색의 요구를 싹틔워 지원해주고, 스스로의 주제 탐구를 통하여 새로운 깨달음을 가져오는 배움의 연속을 지원할 때이다. 미래 교육에 있어 교사들의 주제 중심 배움에 대한 준비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문 연수를 기획, 지원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연수의 방법도 시간, 공간, 전문성에 있어 융통성 있고 다양하게 지원되어야 한다. 또한 칸막이식 학교 급간의 초중고 도 궁극적으로는 급간 구분이 사라져서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사, 주제를 이어갈 수 있는 초중고의 연계 체계가 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5. 정책제언 ① 교원학습공동체를 교원실천공동체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② 교원실천공동체 활동이 연수학점으로 인정되는 제도가 정착되어야 함. ③ AI 시대 교사연수는 블렌디드(blended) 연수가 확대되어야 함. ④ 온라인 현장 교사조직 차원의 능동적 연수 운영 시스템을 전체 교사가 2년에 1회에 참여 하도록 의무화되어야 함. ⑤ 초중고 통합 학제를 바탕으로 맞춤배움과 주제 중심 배움을 지속할 교사 역량의 전방위적 계발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 함.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 목적은 제대로 듣는 것인 경청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초등학생들의 경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 가능한 체계적인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경청 능력 향상 관련 선행 연구와 관련 도서를 탐색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연구팀 워크숍을 진행하였는데 COVID-19로 인하여 원격(webex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워크숍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효용성 검증을 위한 양적질적 연구 및 전문가 협의회를 진행하였다. 3. 연구 내용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청 교육 요소를 분석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을 분류하고 계열화 된 내용을 분석하였고 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 경청 교육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청 능력 발달 단계에 따른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고안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용성 분석을 위해 자기 평가 및 면담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로 적용하여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고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일반화 되도록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4. 연구 결과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청 교육 요소를 분석한 결과, 국어과를 제외하고 1~6학년 전 교과 성취기준에 직접적으로 경청을 언급한 성취기준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경청 능력이 전제되거나 필요한 성취기준은 다수였다. 특히 1~2학년의 경우 간접적으로 경청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상당히 많지만 경청하는 습관 형성을 위한 교과(국어과 제외) 교육활동은 전혀 없었다. 둘째,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을 마련하였다.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은 4단계로 구성된다. 각 단계는 참여하는 사람 수와 참여자 역할에 따라 수준별로 체계화되었고 1단계에서 시작하여 4단계로 발전되는 방향이다. 프로그램 개발 전부터 적용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말하기 주제를 활용해 본 결과와 문헌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말하기 주제 예시와 실제 운영 시나리오를 제시하였고 운영 시 유의점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용성 분석을 위해 자기 평가 및 면담을 진행하였다. 양적 분석을 진행한 학생 자기 평가 결과, 경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가 향상되었고 경청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경청 능력 또한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질적 분석을 진행한 학생 면담 결과,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였고 경청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경청의 범위를 넓히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참여자가 많을수록 경청이 어렵다는 경험을 통해 경청 능력 향상을 위해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을 말해주었다. 교사 면담 결과, 경청에 대해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특히 교사에게도 경청 능력이 필요하고 교사의 경청 능력 향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5. 정책제언 ① 초1~2 안정과 성장 맞춤 교육과정의 일부로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권장되기를 제안함 ② 인성교육 정책 일환으로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하기를 제안함 ③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인 원격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실시간 쌍방향 수업 중심으로 경청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하기를 제안함 ④ 교원 연수 과정 일환으로 경청 능력 관련 내용이 추진되기를 제안함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 목적 첫째, 학교폭력 및 또래갈등 사안을 유형화하여 그에 따른 관계회복 프로그램실행 과정을 마련한다. 둘째, 유형화 된 관계회복 프로그램에서 학교구성원(교장, 교감, 책임교사, 담임교사, 상담교사 등)의 역할을 구체화하여 현장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셋째, 학생 간 관계회복 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관계회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인다. 2) 연구 필요성 관계회복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력을 높임으로써 학교폭력 학교장 자체해결 과정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2. 연구 방법 1) 설문조사: 연구팀원 소속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이 주로 경험하는 갈등사례를 종합하였다. 2) 표적집단 심층면접: 연구팀원 소속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을 모집하여 연구문제 2,3,4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3) 연구진 합의: 연구진들 간 합의를 거쳐 갈등을 유형화하고 심층면접 결과를 분석하였다. 4) 그 밖에도 연구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관련 내용에 대한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 연수 및 전문가 자문 등을 실시하였다. 3.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첫째, 초등학교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한 사안은 어떻게 유형화 되는가?, 둘째, 초등학교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사안의 유형에 따른 구성원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실행과정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넷째, 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 사안 또는 또래갈등 발생 시 관계회복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높일 전략은 무엇인가? 이렇게 네 개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4. 연구 결과 1) 갈등유형화: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갈등빈도(지속성), 당사자간 힘의 균형을 기준으로 유형화하였다. 2) 관계회복 프로그램 진행시 구성원의 역할: 심층면접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각각의 구성원들(담임교사, 상담전문가, 학교폭력담당교사)이 담당했을 경우의 이점과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3) 유형에 따른 실행과정: 심층면접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갈등빈도, 힘의 균형에 따른 유형별 세부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4) 참여 동기 향상 전략: 심층면접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참여 동기 향상 전략을 프로그램 홍보, 제안, 진행 3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5. 정책 제언 1) 학교폭력 관련 매뉴얼(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등)에 관계회복 내용을 구체화하고 학교 내 관계회복 조정기구를 마련해야함.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운영할 수 있는 지침을 주고 학교 내에서도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제반 사항 지원이 필요함. 2) 관계회복 프로그램 전문 교사를 양성해야 함. 단순히 업무적인 프로그램 운영자가 아닌 관계문제에 대한 철학을 갖추고 어렵고 복잡한 갈등에 개입하여 관계회복을 도울 수 있는 전문 교사가 필요함. 3) 프로그램의 보완과 다양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지원해야 함. 프로그램 참여를 제안하는 사전면담과정, 학생 및 학부모의 동의과정, 프로그램 명칭, 사례/학년/유형별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시급함. 4) 학교폭력 이전 단계의 갈등문제에 활용 가능하도록 교육과정화 해야 함. 학교폭력 사안이 아닌 일반적인 갈등문제에도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학년별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창체 등 인성교육에 활용하도록 교육과정화 한다면 학교폭력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임.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019년 7월 개정 누리과정은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유아의 놀이가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고시됨에 따라 연령별 누리과정에 익숙해져 있던 교원과 관리자들은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해야 할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교육과정 운영과 놀이 지원을 위한 자료이자 매개체에 대한 고민은 현장 교사들의 고민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림책이라는 매개체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매개체 중 그림책은 경험적 지식 탐구의 매체이며, 의사소통과 문학 경험을 돕고 가정과도 연계할 수 있는 자료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에 관리자를 포함한 유아교육 교사들로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고 그림책을 다시 살피고, 유치원에서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놀이 사례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가지고 유아의 놀이 지원을 위해 실제적 워크숍을 통해 놀이 과정 자체가 감정과 느낌, 지각과 사고가 어우러지는 완전한 학습 형태가 됨을 인식할 수 있는 과정으로서의 탐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여 놀이로 연결될 수 있는 그림책을 선정하고, 그림책 놀이를 지원하는 현장 연구사례를 진행하여 유아의 충분한 놀이 경험이 자율성과 창의성을 키우고 전인적 발달과 행복을 추구하는「2019 개정 누리과정」의 목표를 실천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의 교원과 교육지원청의 전문직 등 교원 공동체로 구성된 연구팀으로 그림책의 가치와 유아교육에서의 중요성을 다양하고 실제적인 워크숍을 통해 사전 경험하고 연구하는 시간에 큰 비중을 두었다. 단편적인 현장 적용 이전에 그림책의 가치를 이해하고 교사 자신이 그림책을 놀이 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관을 갖는 것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워크숍과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공동체간의 연구를 토대로 유아 놀이에 적용한 사례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다양한 그림책 놀이 사례를 제시하였다. 놀이 매개체인 그림책은 유아 놀이와 연결성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그림책을 사전 연구한 후 그림책 기반 놀이 활동을 지원하고 놀이 사례를 현장 적용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놀이가 진행됨에 따라 선정 외의 그림책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기도 하였으며 이런 사례들은 학습 공동체와 공유하며 유아들의 놀이 흐름을 중시, 진행되었다. 3. 연구 결과 첫째, 놀이 중심의 교육과정이 그림책이라는 매개체를 만나 즐거움과 흥미의 지속적인 방법 연구와 지원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놀이로 연결, 유아 스스로가 놀이 주체로 놀이를 주도하고 끌고 가며 전인적 발달을 이룰 수 있다. 둘째, 그림책 놀이 확장방안 연구사례들은 초임 교사와 놀이 중심 교육과정, 놀이 흐름 따라가기 등의 이해가 부족했던 현장 교원에게 그림책 놀이의 내용과 방법 등을 공유하여 일반화 할 수 있다. 셋째, 교원 스스로가 유아의 놀이 지원자로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연수 참여, 관찰 기록, 저널 쓰기 등 자기성찰을 통해 전문적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또한, 관리자의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학부모 연수나 가정 지원, 교사 지원 방안으로 현장에 적용, 일반화할 수 있다. 4. 정책제언 ① 그림책 읽기의 중요성과 놀이 사례를 연계한 학부모 인식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코로나19 상황 등에서는 비대면 방식의 효율적 방안 모색 필요) ② 놀이 확장에 필요한 재료 지원이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행정절차의 축소와 관리자의 협조 및 노력이 필요함 ③ 코로나19로 비대면 원격수업 상황에서 그림책 놀이 사례는 시기에 맞는 연구로 현장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로젝트 학습. 코로나19로 인해 시작되었고, 앞으로 더욱 확대될 원격수업 및 온오프 연계 수업의 핵심 키워드이다.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서로 소통하며 공유하고 공감하는 협력적 프로젝트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핵심역량 및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설문조사,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조성, 교육과정 재구성 및 프로젝트 학습 설계, 실시간 쌍방향 수업 진행 및 수업 나눔 3.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온오프 연계 수업 상황에서 실천할 수 있는 협력적 프로젝트 학습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먼저, 디지털 교육환경을 구축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교사 역량 강화를 실시하였다. 핵심성취기준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온오프 연계 수업 상황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생의 성장을 위한 과정중심 평가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자료 나눔을 위한 사이트를 개설하여 운영하였으며, 컨설팅 장학 및 자율연수 등의 형태로 일반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4. 연구 결과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프로젝트 학습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프로젝트 학습의 결과물이 대부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되는 바 충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디지털 리터러시가 갖추어졌을 때 프로젝트 학습의 성과 역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원격교육 및 온오프 연계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은 효과적이다. 프로젝트 학습은 개별 및 모둠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교실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료를 수집하고 온라인 플랫폼상에서 공유와 토론을 통해 프로젝트 학습의 깊이를 더할 수 있었다. 원격교육 및 온오프 연계 수업 상황에 따른 적절한 수업 설계로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극대화가 가능하다. 셋째, 협력적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교사공동체의 노력이 중요하다. 학생 혼자 프로젝트 학습을 할 수 없듯, 수업 역시 교원학습공동체 중심으로 교사가 함께 준비하고 실행해야 한다. 교육과정 재구성에서부터 수업 나눔까지 공동체 중심으로 협력적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한 협력적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교사의 관심이 높다. 원격수업이 진행되면서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늘었고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로 이어졌다. 다양한 연구 나눔의 자리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한 협력적 프로젝트 학습에 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정책제언 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비롯한 앞으로의 원격수업 상황에 대비한 스마트 교육환경 구축이 필수적임. ② 변화하는 시대의 적응에 대한 교사의 자발적 의자와 교육력 제고가 필요함. ③ 스마트 기기 활용 교육을 비롯한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함. ④ 협력적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교 차원의 지원과 시스템 마련이 필요함. ⑤ 원격수업 및 온오프 연계 수업에 맞는 효과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해서 연구되고 이루어져야 함.
2020-12-3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최근 초유의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교육복지 통합 안전망 구축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경제적?문화적 어려움에 더해 등교 수업 축소, 온라인 수업 확대 등으로 교육격차 심화와 안전의 위협까지 복합적 위기에 처한 교육취약 학생들에게 지역사회와 교육복지공동체를 구축하여 한층 심화된 통합 교육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요구되어지는 교육복지센터의 네트워크 역할모델을 새롭게 모색하여 제시함으로써, 강서?양천교육복지센터의 지역사회 네트워커 역할을 확대 및 강화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現 강서?양천교육복지센터의 네트워크 운영 현황을 진단 및 분석하고, 네트워크 영역의 전문가 슈퍼비전 실시, 현장탐방과 관계자 면담을 통한 다양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작동 실태 및 사례 연구, 학술 자료 등의 분석 및 조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교육복지센터의 네트워크 역할모델 및 수행과제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3.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지역교육복지센터의 네트워크 필요성과 목적, 방향성 그리고 실천에 있어 지향해야 할 기관의 태도와 가치관을 담아 지역 네트워크 거점 역할모델 및 역할 수행을 위한 과제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아울러, 새롭게 제시된 네트워크의 역할모델과 수행과제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 각 센터의 지역적 상황과 여건에 따라 네트워크 단계별 업무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단계별 업무추진을 제시하였으며, 현장에서 활용방안의 구체성을 높이기 위해 과제 수행에 대한 진단 체크리스트를 참고 활용자료로 제공하였다. 4. 연구 결과 강서?양천교육복지센터가 지향해야 할 네트워크의 태도 및 방향성을 담아 네트워크 거점 역할모델을 상호작용 측면의 역할, 구조 효율화 측면의 역할, 기능 확장 측면의 역할로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① 상호작용의 측면에서는 주체 간의 교류와 호혜성을 높이면서 다양성을 구축하고, ② 구조 효율화 측면에서는 각 주체들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분업화하고 소통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기관 간 구심체 역할을 강화하고 ③ 기능 확장 측면에서는 각 주체들의 목적 기여도를 높이고 함께 성과를 공유하여 만족도를 높이는 세부적인 역할로 체계화하였다. 또한 각각의 세부역할에 대한 설정 배경, 역할의 정의, 수행과제, 평가지표의 연계성까지 자세하게 설명하여 역할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될 수 있도록 이해를 돕고, 실제 역할 수행시 명확하게 제시된 역할과 수행과제를 기반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을 구체화 및 현실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정책제언 ① 과업중심에서 신뢰와 소통 바탕의 관계형성 중심으로 네트워크 활성화 추진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등교수업 축소, 온라인 학습 전환 등으로 가정과 지역사회 책임이 증대되는 상황이나,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사회 전환 등으로 지역사회 공동체 연대가 약화되고 사회적 관계망이 위축되고 있음. 네트워크는 사람이 맺어가는 관계에 의해서 사실상 형성되는 것이며, 이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시스템화 하는 것임. 이에 지역교육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뢰와 소통 바탕의 관계형성으로 연대와 협력의 가치 확산이 필요함. ② 네트워크 역할과 수행과제에 대한 수행지표 및 평가지표 추가 제시 필요 現 서울시교육청의 지역교육복지센터 매뉴얼에는 교육복지센터의 네트워크 거점 역할모델과 수행과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음, 이에 본 연구는 교육복지센터가 지향해야 할 네트워크의 태도 및 방향성을 역할모델과 수행과제에 담아서 제시하는 첫 시도를 함에 따라, 향후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훨씬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행지표와 평가지표 제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③ 포스트 코로나 시대 네트워크 역할의 새로운 변화 필요 코로나19 신종 전염병의 발생과 확산으로 교육복지 대상 아동뿐만 아니라 돌봄의 사각지대에 놓인 가정의 아동들에 대한 발굴과 현안 문제 발생시 구체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노력이 동반되도록 교육복지센터의 명확한 역할 범위 설정과 사업 추진 방식의 새로운 변화가 필요함.
2020-12-312020년 보수교육(기본교육 7시간) 이수자 명단(최종)입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번을 걸었습니다. 비번은 지역 또는 권역별 대표님께 문의 부탁드립니니다. 확인 결과 누락된 분이 있어 추가하였습니다.,
2020-12-291. 관련: 행정지원과-32931(2020. 12. 28.) 2. 2021. 1. 1.자 우리 원 일반직공무원 근무부서를 붙임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2020-12-292021년도 특수운영직군(시설관리원) 채용 공고를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1. 채용인원: 시설관리원 1명 2. 채용예정기간: 2021. 2. 1. ~ 정년 시(만 60세) 3. 응시자격: 만 18세 이상 ~ 만 60세 미만 4. 응시원서 접수 가. 접수기간: 2020. 12. 29.(화) ~ 2021. 1. 7.(목) 17:00까지 나. 접수방법: 담당자 이메일(song2111@sen.go.kr)로 접수 5. 기타 세부사항은 공고문 참조 붙임 2021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특수운영직군 종사자(시설관리원) 채용 공고문 1부
2020-12-292020년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는 원격수업 및 블렌디드 수업 등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공유하기 위한 「2020년 연구대회 우수사례 온라인 컨퍼런스」를 실시합니다. 관심있는 교원 및 예비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 가. 행사명: 2020 연구대회 우수사례 온라인 컨퍼런스 나. 행사개요 일 시 2020. 12. 21.(월) ~ 2020. 12. 23.(수), 15:00~18:00 방 법 온라인 컨퍼런스 https://www.edwith.org/2020serii 대 상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초중등 교원 및 예비교사 session 1 session 2 session 3 E-booth 특별 강연 온라인 수업, 교사 실재감이 답이다 수업사례 1 미래교육의 방향과 전략을 말하다 블렌디드 수업 AI, SW교육 메이커 교육 온라인 공개 수업 컨퍼런스 E-BOOK 열람 코너 쌤 TALK 코로나-19 위기에 맞선 교육의 힘 수업사례 2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를 준비하다 협력적 인성교육 진로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쌤 STORY 수업, 나의 이야기 수업사례 3 수업, 상상력을 더하다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 사례 디지털 에필로그 - 발표자와 참여자가 함께하는 디지털 폐회식 다. 세부 내용: 첨부파일 참조
2020-12-202020 행정서비스헌장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를 붙임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2020-12-18Ⅰ. 서 론 Ⅱ. 분석 결과 1. 시점 및 교과별 학업탄력성 학생 비율 변화 2. 기초자치구별 학업탄력성 학생 분포 양상 3. 학업탄력성 학생 비율에 따른 유형별 특성 Ⅲ. 결론 및 논의 1. 연구 요약 2. 정책적 제언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2020-12-16차 례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기대효과 Ⅱ. 이론적 배경 1. 기초학력 개념 가. 교육과정 기본방향 나. 교육과정에서의 기초학력 다. 정의되고 있는 기초학력에 대한 개념들 2. 기초학력 진단 3. 현행 기초학력 지원 가. 지원정책의 비전 및 목표 나. 평등한 출발선 보장: 초등 저학년 집중 지원 다. 통합 지원활동: 3단계 학습안전망에 의한 책임지도 라. 학생 맞춤형 보정 지도 4. 소결 Ⅲ. 해외정책 사례 분석 1. 아일랜드 2. 영국 3. 캐나다 4. 호주 5. 소결 Ⅳ. 해외사례 면담 분석 1. 경험 속의 기초학력 개념 가. 주체성, 협동, 그리고 공동체성 나. 자기표현과 말하기 다. 초등과 중등의 차이 2.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지원체계 가.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주요 배경 나. 교사의 관찰을 통한 학생 성장 정도 평가 다. 성장을 위한 기초학력과 개별화된 지원체계 3. 기초학력 지원정책의 제약과 한계 가. 지역 및 학교유형 간 격차 나. 표준화된 학교평가 체제와 학업성취도 중심의 국제평가 영향 4. 소결 Ⅴ. 기초학력 진단 및 지원 방안 1. 기초학력 개념: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역량 2. 보장해야 할 기초능력에 대한 명료화: 문해력과 수리력 가. 개념 정의 및 세분화 나. 개별 학생의 성장을 확인하기 위한 표준화된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다. 미취학 아동으로 보장의 범위 확대 3. 역량을 고려한 접근법 활성화 가. 학생의 다중요인을 고려한 진단과 평가 나. 유연한 교육과정 4.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 가. 공공도서관의 교육 기능 및 역할 강화 나. 학부모회 활성화 다. 타 기관 전문가 활용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 Ⅵ.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2020-12-15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가. 학생인권 관련 담론 및 실태조사 분석 나. 1기 학생인권종합계획 관련자의 학생인권종합계획 시행 경험과 정책 평가 분석 다. 학생인권종합계획 개선 방안 마련 및 2기 수립 설계 가안 제안 3.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다. 전문가 협의회 4. 기대효과 Ⅱ. 이론적 배경 1. 학생인권 선행연구 및 관련 정책 가. 학생인권 선행연구 나. 학생인권 정책 2. 권리기반정책의 실행 및 실천 평가를 위한 분석 틀 가. 권리기반정책에 대한 이해 나. 분석틀: 학교에서의 인권기반정책과 실천 평가 방법 (HRMSE: Human Rights Methods in School Education) III. 학생인권 개념 계보 분석 및 실태조사 분석 1. 학생인권 개념 분석 가. 학생인권 담론의 계보 분석 나. 학생인권조례에 나타난 학생인권 개념 분석 2. 학생인권 관련 실태조사 분석 가. 학생인권 실태조사 분석 나. 영역별 분석 결과 다. 요약 및 논의 3. 소결 Ⅳ. 1기 학생인권종합계획 정책실행 분석 1. 1기 학생인권종합계획에 대한 이해 가. 수립 배경 및 주요 내용 나. 정책 개요 다. 평가 및 모니터링 2. 1기 학생인권종합계획 정책실행 분석 가. 참여 나. 비차별(Non-discrimination) 다. 권한 강화 (Strength-perspective) 라. 개인과 공동체의 통합(Micro/macro integration) 마. 역량 강화(Capactiy-building)와 협력(Collaboration) 바. 적극 행동주의(Activism)와 책무성(Accountability) 3. 소결 Ⅴ. 2기 학생인권종합계획 기초 내용 및 방향 1. 중심 주제 변화의 필요성 가. 일상생활에서의 권리: 차별과 혐오, 안전과 복지 나. 비대면 사회의 학교와 학생인권 2. 행정 및 지원 체계 변화 요구 가. 실천적 매뉴얼 제공 및 교사 연수의 체계화: 학교급별 구분 나. 권리기반정책과 실천 활성화를 위한 조직 개편의 필요성 다. 학교 구성원 중심의 방안 필요 라. 권리기반정책으로서 평가 강화를 위한 제반 조건 마련 3. 2기 학생인권종합계획 가안 가. 2기 기본계획의 방향과 원리 나. 비전과 목적 다. 정책 목표 라. 2기 학생인권종합계획 실천을 위한 체계 및 평가 재편 안 4. 소결
2020-12-15[서교연-51]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학생역량검사지 개발 연구(연구책임자: 김경희 연구위원(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를첨부합니다.
2020-12-08[서교연-57]진로진학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진로결정에 미치는 종단 영향검증 코호트별, 학교유형별 비교 분석( 연구책임자: 홍세희 교수(고려대)) 보고서를 첨부합니다.
2020-12-08[서교연2019-50]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교원역량문항개발연구(연구책임자: 박수정 교수(충남대학교)) 보고서를첨부합니다.
2020-12-08■ 행정지원과에서는 연구하여 혁신하는 미래서울교육 지원을 위해 우리 원 문헌정보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문 교육자료를 소개하는「연구하는 서울교육」을 발행합니다. ■ 이에 제17호(2020년 겨울)을 붙임과 같이 안내하오니 유용하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PART1. 주목해야 할 서울교육연구 - [2020 현안연구 보고서] 코로나19로 인한 학교 수업 방식의 변화가 교사 수업, 학생 학습, 학부모의 자녀 돌봄에 미친 영향: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해외동향] 코로나19 기간 동안 핀란드의 원격교육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활용한 창조적 집단지성 수업연구 - 이슈페이퍼[2020-4] 서울 교육복지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 PART2. 서울교육 연구자료목록 - [해외동향] 코로나 19 시대, 학교 등교 수업 관련 국가별 사례 및 국제기구 권고사항 -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 초중등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노동인권교육 수업모델 연구 - 혁신학교 발전방안 모색 : 학력부진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 과학고 입학전형 개선방안 연구 - 학교통합지원센터 운영 현황 및 역할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 서울시 모든 학교교과교습학원 일요휴무제 도입의 타당성 검토 연구 - 서울교육 정책연구 SEPI 나눔 PART3. 문헌정보실에서 추천하는 교육에세이 - (더 힘들어하고, 더 많이 포기하고, 더 안하려고 하는)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 김현수 지음 |해냄 | 2019
2020-12-072021년도 특수운영직군 종사자 채용 공고를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1. 채용인원: 당직전담원 1명, 시설관리원 1명, 콜센터상담원 1명 2. 채용예정기간: 2021. 1. 1. ~ 직종별 정년 시(공고문 참조) 3. 응시자격 가. 당직전담원: 만18세 이상 ~ 만65세 미만 나. 시설관리원, 콜센터상담원: 만18세 이상 ~ 만60세 미만 4. 응시원서 접수 가. 접수기간: 2020. 12. 4.(금) ~ 12. 11.(금) 17:00까지 나. 접수방법: 직종별 담당자 이메일로 접수(담당자 및 메일주소는 첨부된 공고문 참조) 당직전담원 - ycr108@sen.go.kr 시설관리원 - song2111@sen.go.kr 콜센터상담원 - aiwios@sen.go.kr 5. 기타 세부사항은 공고문 참조 붙임 2021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특수운영직군 종사자 채용 공고문 1부
2020-12-04핀란드국가교육원(FinnishNationalAgencyforEducation)에서2020년9월에발간한코로나19위기동안의핀란드원격교육:첫번째관찰보고서를소개합니다.이보고서는코로나19기간동안진행된핀란드국-내외의원격교육에대한지금까지축적된여러정보를수집하여요약했으며핀란드에서시행된원격교육전반에대한첫조사결과를제공하고있습니다. 이보고서의주요내용은다음과같습니다: ○코로나19위기동안이루어진원격교육에대한국제비교및국내조사결과,원격교육으로의전환및교육의전달은상황을고려했을때매우성공적이라할수있음.이는핀란드교사의높은전문성과교육및디지털화사업에대한정부의충분한투자가있었기때문에가능했다고보여짐. ○원격교육은대부분의학생들에게긍정적인경험으로인식되었고,특히나심리적인어려움이나학교불안을가진학생들에게긍정적으로작용함.학생들은원격교육기간동안학교와긴밀하게소통할수록,그리고실시간으로수업을진행할수록긍정적인평가를함. ○교사들의어려움중하나는학생과학생간의소통을돕는일로나타남. ○교사지원책중가장효과적인형태는동료교사들간의교사학습공동체구성이며,특히멘토교사의역할이중요한것으로나타남. 보고서원본을첨부하오니코로나기간동안핀란드에서진행된원격교육에대해관심있는분들은참고하시길바랍니다.
2020-12-03[서교연 2020-9] 2020 현안연구 보고서 코로나19로 인한 학교 수업 방식의 변화가 교사 수업, 학생 학습, 학부모의 자녀 돌봄에 미친 영향: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입니다.
2020-12-01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별 학교 등교 수업 재개 지침 및 우수 등교 사례와 더불어 국제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코로나 19 등교 관련 권고 사항을 첨부합니다. 해당 자료는 2020년 9월 28일까지 최종 업데이트된자료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11-26[재공고] 교육공무직원(전문상담사)육아휴직 대체 직원 채용 공고 안내 1.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교육공무직원 (전문상담사) 대체직원 채용안내 가. 채용인원 : 1명 (일급제) 생활임금단가기준 나. 채용기간 : 2020.12.1.~ 2021.8.31.(9개월) 주5일 / 1일 8시간 근무 다. 접수기간 : 2020.11.10.(화) ~ 11.16.(월) 24:00 (7일간)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라. 접수방법 : 전자우편 접수 (thoreau@sen.go.kr) [방문.우편.팩스 접수 불가] 마.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 2020.11.17.(화),(합격자에 한하여 유선통보) 바. 면접일시 : 2020.11.20.(금) (대상:서류심사 합격자) 사. 최종합격발표 : 2020.11.23.(월) (최종 합격자에 한하여 유선 개별 통보) 아. 기타 자세한 사항은 붙임 공고안 참조 2. 문의: 교육연구사 김진우 (02-311-1354)
2020-11-10교원연구활동- 초중등교과교육연구회 게시판은 초중등교과교육연구회 공지사항 및 운영 지원 안내 등의 자료를 탑재합니다. 기존 교과교육연구회별 운영 홈페이지는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셔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http://sun.ssem.or.kr/index.jsp?sso=ok 교과교육연구회 특수분야직무연수관련게시판은아래 사이트에서 이용하며 로그인 인증 후 연구회 회원의 연수 홍보글 게시및 읽기가 가능합니다. http://www.ssem.or.kr/edcRsrch/jobTrn/cmmEdcDta/cmmEdcDtaList.do?courseDataSe=g
2020-11-102020년 하반기 교육감 승인 신설 교과목 인정신청도서 심의 일정을 공고합니다. ※ 시중 유통도서도 인정도서 자체검증결과서(고등학교 전문교과Ⅰ·Ⅱ, 고교학교장 신청 인정도서 해당) 제출-공고문 2페이지 참조
2020-11-04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브라우저가 익스플로러와 구글 크롬이 있는데 이 두가지에 대해서 팝업차단해제방법과 팝업차단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익스플로러(Explorer) 인터넷창을 실행합니다. 인터넷 창 상단에 있는 도구를 클릭 후 팝업차단 - 팝업차단설정을 클릭합니다 여기에서 모든 사이트 팝업차단해제를 설정하는 방법이 아닌 팝업차단 예외 사이트로 지정하고 싶을때 쓰는 방법입니다. 팝업차단 설정부분에서 팝업을 허용할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후에 추가를 누르면 팝업창이 뜨게 됩니다. 모든 사이트 팝업차단을 설정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화면을 보면 높음 : 모든 팝업차단으로 선택하면 모든 사이트 팝업이 차단됩니다. 이제 모든 사이트 팝업차단해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창에서 도구 - 인터넷 옵션에 들어갑니다. 인터넷 옵션창이 뜨는데 여기서 상단바에 보안을 클릭후 사용자 지정 수준을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보안 설정 - 인터넷 영역 창이 뜨는데 여기서 아래로 내리다보면 팝업 관련 글이 나옵니다. 아래 화면처럼 팝업 차단 사용에 사용안함을 체크후 확은을 누릅니다. 그런후 인터넷 옵션 상단에 개인정보를 클릭해서 팝업차단 사용에 체크되어 있는것을 체크해제 후 확인을 누릅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사이트 팝업이 해제됩니다. 이제 팝업차단으로 불편했던 사이트에서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모든 팝업차단 해제를 하게 되면 쓸데없는 엑티브파일이나 악성코드가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러니 모든 팝업차단해제보다는 원하는 사이트만 팝업차단해제하는게 좋습니다. 2.구글 크롬(chrome) 이번에는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크롬을 실행시킵니다. 크롬 브라우저 화면에 보면 우측 상단에 아래 화면에 표시한곳을 누릅니다. 거기서 설정부분을 클릭합니다. 설정부분에서 아래 부분으로 내리면 고급설정이 있는데 클릭을 합니다. 여기서 개인정보의 콘텐츠 설정을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콘텐츠 설정 창이 뜨는데 오른쪽 바를 아래로 내리다 보면 팝업에 관한 글이 나옵니다. 여기서 모든 사이트에서 팝업표시허용을 체크하면 팝업해제되어서 팝업창이 뜨게 됩니다. 크롬에서도 익스플로러와 마찬가지로 특정사이트만 팝업차단해제를 할수 있습니다. 팝업 아래에 예외 관리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팝업예외 창이 뜹니다. 여기에 자신이 팝업차단해제 하고싶은 사이트를 입력후에 허용을 체크하면 그 사이트는 팝업창이 뜨게 됩니다. 이상으로 익스플로러와 크롬 팝업차단해제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2020-11-03학교평가 및 연구대회 운영 등과 관련하여 업무보조원 채용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1. 채용 인원: 2명2. 채용 기간: 2020.11.16.(월)~12.31.(목)3. 담당 업무- 2020 학교평가 조직진단시스템 운영 업무- 2020 각종 연구대회 운영 관련 업무- 2020 학교간교원학습공동체 보고서 수합 및 정산 관련 업무- 기타 기획평가부 관련 업무 등4. 세부 내용: 첨부파일 참조 첨부파일: 업무보조원 채용공고문.hwp
2020-11-021.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교육공무직원 (전문상담사)의 육아휴직원 제출에 따라 대체 직원을 다음과 같이 채용 공고 안내 가. 채용인원 : 1명 (일급제) 나. 채용기간 : 2020.12.1.~ 2021.8.31.(9개월) 다. 접수기간 : 2020.10.30.(금) ~ 11.5.(목) 24:00 (7일간) 라. 접수방법 : 전자우편 접수 (thoreau@sen.go.kr) [방문.우편.팩스 접수 불가] 마.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 : 2020.11.9.(월),(합격자에 한하여 유선통보) 바. 면접일시 : 2020.11.11.(수) (대상:서류심사 합격자) 사. 최종합격발표 : 2020.11.13.(금) (최종 합격자에 한하여 유선 개별 통보) 아. 기타 자세한 사항은 붙임 공고안 참조 붙임 교육공무직원(전문상담사)육아휴직 대체직원 공고(안) 1부.
2020-10-292019-2 연차보고서 'SEPI 나눔' 전체 PDF 파일입니다.참고)연도 표시 체계를 바꾸어서 매 연초에 전년도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SEPI를 발간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2020년 초 발간한 SEPI 책자의 이름은 '2020 연차보고서'가 아니라 '2019 연차보고서'가 되어야 하나, 기발간된 2019 연차보고서와 이름이 중복되어 올해에 한해서 '2019-2 연차보고서'라고 명명하였습니다.
2020-10-261. 관련: 행정지원과-32931(2020. 12. 28.) 2. 2021. 1. 1.자 우리 원 일반직공무원 근무부서를 붙임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2020-12-29 11:43:282020 서울교육종단연구 위탁정책연구과제 연구팀을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가. 공모대상: 1개(※ [붙임 1] 참조) 나. 공모기간: 2020.10.20.(화)∼10.27.(화) 다. 공모대상: 대학교수 및 전문연구기관의 연구원, 교원, 교육전문직, 교육행정직 등 라. 공모주제: 코로나19가 교사 수업, 학생 학습 및 가정생활에 미친 영향: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마. 세부내용: [붙임 2~4] 참조 바. 선정기간: 2020.10.28.(수)∼2020.10.30.(금)
2020-10-20 16:45:44교육연구정보원 기획평가부에서는 연구대회에서의 표절 및 불공정 행위 근절을 통해 연구 윤리를 강화하고, 연구대회의 공정성 및 신뢰도 제고하기 위하여 「연구대회 참여교원을 위한 연구윤리 길라잡이」책자(PDF)를 제작·배포합니다.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20-09-24 15:26:56* 본 안내는 K-에듀파인 게시판 '대회/모집'탭에서 2020.8.12.공문으로 이미 게시된 내용의 일부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K-에두파인 게시번호 130694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2020년 전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교경영 및 교수학습 연구대회」연구보고서 출 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관심있는 교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 가. 대상: 직업계고(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계열) 교원 ※ 직업계 각종학교인 산업(문화예술)정보학교 포함 나. 분과: 학교경영 분과(시도예선 없음, 전국대회만 운영) 교수학습 분과(서울시대회 및 전국대회 운영 ) 다. 출품 기한 및 방법: K-에듀파인 게시판 '대회/모집'에서 확인 1) 학교경영 분과 - 출품기한: 2020. 10. 5.(월) ~ 10. 8.(목) 17시까지 - 방법: 출품자 본인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으로 우편 또는 직접 방문 제출 2) 교수학습 분과(서울시 예선) - 출품기한: 2020. 9. 8.(화) ~ 9. 15.(화) 17시까지 - 방법: 2가지 시행 (1) K-에듀파인 공문 제출: [붙임2] 첨부 ※ 수신처: 교육연구정보원 기획평가부 (2). 직송: 출품서류 및 CD(또는 USB) 감사합니다.
2020-09-10 09:40:38[원격수업 지원 플랫폼 구축] 사업 제안서 평가위원회 예비평가위원을 다음과 같이 모집하오니 적격자는 지원해주시기 바랍니다. 가. 모집 기간: 2020. 8. 11.(화) ~ 14.(금) 18:00까지 나. 모집 분야: [붙임 1] 평가위원 자격 참조 다. 모집 인원: 21명 (평가위원회 3배수) - 향후 업체 추첨에 따라 다득표 순으로 최종 평가위원 7명 선정 라. 제출 서류: 붙임 내 [서식1~6] 마. 제출 방법: 우편 및 방문, 이메일(boksil98@sen.go.kr) 보안 제출 - 본인 서명이 날인 후 PDF파일로 제출
2020-08-11 14:03:34□ 본 연구는 서울 혁신교육 10년의 전개 과정을 고찰하면서, 서울 혁신교육 정책의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음. □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10년간 다음과 같은 정책을 혁신교육 정책 범주 안에서 시행해오고 있음. [1] 혁신교육 중심 사업 1. 서울형혁신학교 2. 혁신교육지구 3. 민주시민교육 4. 학교자율운영체제 [2] 현장 기반 혁신교육 일반화 정책 5. 교육과정-수업-평가 혁신 6. 학교 공간 디자인 7. 교육복지 및 교육 공공성 강화 사업 [3] 혁신 정책 기반 시스템 구축 8. 교원정책 9. 교원 연수 10. 행정 혁신 11. 학교회계 □ 본 연구에서는 다음 틀을 활용하여 상기 11개 정책을 분석하였음. 1. 정책 문제 2. 정책 목표 3. 정책 내용 4. 정책 해석 5. 주체의 창조 6. 혁신교육 담론 7. 유관 정책의 구조 □ 지난 10년간 서울 혁신교육 정책은 교육감 교체, 정권 교체 등 매우 불안정한 정책 환경에서 시행되어 왔음. 다만, 세계사적 변동은 서울 혁신교육의 지향이 타당한 것이었음을 보여주었음. □ 서울 혁신교육에 대하여 언론은 ① 혁신학교에서의 교육은 학생을 중심에 두고 학부모 참여를 보장하고, 참여 할동 프로젝트를 강조하여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자 하며, ② 교육청은 혁신학교를 지정하여 예산을 지원하고 확대하고자 했으나, 대학입시에 잇점이 없고 학력이 낮다는 비판을 받았다. ③ 한편, 혁신학교 지정에 따라 해당 지역의 학군에 대한 수요층이 두텁게 형성되고, 부동산 가치 상승 여력이 증가한다는 사실도 보도되었음. □ 서울 혁신교육 정책 10년 동안 다음과 같은 성과를 거두었음. 1. 교육의 공공성 기반 구축 2. 학생 청소년에 주목하기 시작 3.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태도의 변화 4. 학교 및 교육행정 운영의 민주성 제고 5. 지속적 혁신의 담론적, 물적 기반 구축 □ 향후 서울 혁신교육 정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함. 1. 교직원 인사 정책 변화 2. 학생 성취의 출구 관리 기제 확립 3. 학교 자율 운영 재개념화와 교장 리더십 확립 4. 새로운 수업과 새로운 평가에 대한 실증 분석 5. 학습복지 강화 6. 혁신학교 조정 전략 7. 혁신교육지구 사업 조정 전략 8. 행정 혁신 적극화
2021-01-19 13:52:262020 서울교육연구년 최종보고서입니다. 첨부파일에 개인연구와 공동연구로 나누어 업로드 되었습니다.
2021-01-18 15:23:16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200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지원과의 주된 정책 과제로 실행되고 있는초3~6 협력적 창의지성ㆍ감성 교육과정(이하 [꿈실]) 운영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속발전가능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초3~6 협력적 창의지성ㆍ감성 교육과정은 서울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학생참여선택활동과 협력적 프로젝트 활동 중심의 교실 혁신 정책이다. 특히 혁신학교의 성과를 반성적으로 수용하고, 학교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상향식 혁신(bottom-up innovation)의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년차에 접어든 [꿈실]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고 향후 발전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꿈실] 교실 혁신 정책의 실행 성과분석을 위하여 정책체계(Policy System)의 차원에서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평가, 환류의 측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형성집행평가환류의 순차적 측면과 아울러 학교현장의 안팎의 상황과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따른 영향 등도 함께 살피고자 하였다. 정책연구를 위해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고, 설문조사, 본청 자문단 및 교육지원청 현장지원단 FGI(Focus Group Interview), 교장, 교사, 교원전문직 등과 함께 전문가협의회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였다. 3. 연구 내용 2020학년도 [꿈실] 정책의 변화 지점을 분석하고, [꿈실] 운영 교사들의 운영 실태를 학급수, 공모주제, COVID-19로 인한 주제 및 예산 변경 사례를 분석했다. [꿈실] 운영 교사들의 인식 분석은 운영 동기, 학생참여선택활동과 협력적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 학습자의 변화 양상, 운영 교사의 변화 양상, 차기년도 신청 의사 등을 살폈다. 본청 자문단과 교육지원청 지원단의 활동과 개인 운영 및 팀 운영 사례를 분석했다. 4. 연구 결과 2019~202학년도 [꿈실] 운영의 성과는 첫째, 프로젝트학습의 저변확대에 기여하였다. 2020학년도의 [꿈실] 운영학급수는 5674학급(1550팀)으로 작년보다 2376학급이 늘어난 수치이다. COVID-19 상황에서도 주제와 예산 변경없이 [꿈실]을 운영한 교사가 대부분이었다. [꿈실] 운영계획서 내용에서도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생들이 등교수업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급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꿈실] 활동이 전화위복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현장 교사들의 협력 문화를 성장시켰다. 2020학년도 [꿈실] 운영 교사의 60%가 동학년을 포함한 주변의 권유로 시작하였으며, 운영 후에도 만족감도 높았다. 차기년도 운영 희망 여부도 2019년도의 87.0%에서 90.7%로 상승했다. 셋째,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성이 신장되었다. [꿈실] 운영 교사들이 관찰한 학생들의 변화로 자신감과 내적 동기 향상, 협업능력이나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넷째, 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신뢰감이 확산되었다. 공문이나 안내자료를 보고 [꿈실]을 신청한 교사들보다 동학년의 권유와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꿈실]을 운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특히 교사들이 [꿈실]에 대한 인식은 기회, 가능성, 즐거운, 자유, 소통, 행복, 도전 등과 같은 긍정적인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예산 사용의 수월성을 확보하거나, 운영학급 상황이나 주제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대한 요구도 의미있는 제안으로 도출되었다. 2019학년도 [꿈실] 운영은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인식하는 출발점이자 도약발전을 위한 교두보였다면, 2020학년도는 프로젝트학습의 가치를 인식하고 교사들의 교육철학이나 태도를 변화시키는 내면화의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5. 정책제언 ① [꿈실] 지원 학급 확대를 통해 학교현장의 협력적 교사 문화를 정착발전시켜야 함. ② 교사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넛지(Nudge) 방식 지원을 강화해야 함. ③ 프로젝트학습에 따른 피드백 방법과 학생참여형 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④ 교실의 물리적 환경 변화와 원격수업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함.
2021-01-14 13:42:55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역량 함양을 목표로「2020년 학교도서관진흥시행계획」을 발표하여 내실 있는 독서교육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으며,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도 교육청의 기본 취지를 반영하여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프로그램들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비율은 2%에 그쳐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 모색이 시급한 실정이다. 영유아시기 도서관에서의 독서경험은 영아에게는 문해환경을 처음으로 접하게 하고, 유아에게는 형식적인 학교 교육을 준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되며 책과 함께 하는 흥미로운 놀이와 새로운 분야의 책을 접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생애 첫 독서교육 공공서비스 기관으로서의 역할 재정립을 위해, 교육청 공공도서관만의 정체성을 가진 서울형 영유아 특성화 프로그램 모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유아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브랜드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2. 연구 방법 및 내용 서울시교육청만의 정체성을 가진 영유아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국내외 선행사례 분석 후 교육청 공공도서관 20개소 방문 인터뷰를 통해 영유아실 구성, 시설, 인적자원 등의 현황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요구조사(전문가 인터뷰, 설문조사, 심층인터뷰)에서는 영유아 전문가, 어린이실 전담 사서,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자, 학부모 중 각 수행 목적에 따라 적합한 대상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 아이 첫 독서학교, FIRST.L 모형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집단을 대상으로 2회의 시범적용 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시교육청 연구협력관, 교육청 사서 집단, 서울시 소재 유아교육기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공청회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 내용과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3.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우리 아이 첫 독서학교, FIRST.L은 First I Reading School bridge to Library의 약자로 도서관으로 이어지는 아이의 첫 학교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본 프로그램은 도서관에 대한 친근감 향상, 책 읽는 습관 형성, 창의사고력 증진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도서관이 아이의 첫 번째 독서학교로서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독서와 놀이, 체험 활동을 통해 인지언어 및 신체발달뿐만 아니라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운영 프로세스는 ① 본 프로그램의 주제중심 키워드에 따라 영유아 추천도서목록을 선정한다. ② 추천도서를 이용한 Basic 프로그램을 독서, 놀이, 체험활동으로 구성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가정/기관에 제공한다. ③ 가정유아교육기관연계활동 프로그램을 꾸러미와 함께 배부하여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서 선정을 위한 주제는 생활주제(생활, 자연, 국가, 과학기술, 환경) 5개 영역과 인성주제(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 6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로써 사서는 월간 주제도서를 선정하여 BASIC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관별 홈페이지를 통해 가정과 기관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는다. 그리고 도서관에서의 독서놀이체험 활동을 제공 후, 가정과 기관으로 연계확장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4. 중장기 운영방안 ① 서울시교육청은 기관연계 활성화를 위해 교육청 소속 병단설유치원과 연계를 지원하여 FIRST.L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 또한, 지역구 육아종합지원센터와의 협약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주제별 FIRST.L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제공함. ② 서울시교육청은 지역별 유아, 아동 관련 학과가 소재한 대학교와 MOU를 맺어 학과 학생과 졸업생을 인력을 활용하여 FIRST.L 프로그램 운영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함. ③ 서울시교육청은 프로그램 홍보를 실시하여 특성화 프로그램으로서 FIRST.L을 브랜드화하고, 주제도서의 일부를 온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작권 문제를 조율하도록 함. ④ 교육청 차원에서 역량 있는 강사풀과 다양한 자원활동가 풀을 지원하여 영유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있는 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 장기적으로는 시설지원의 필요가 있음. 5. 정책제언 ①【 2021-2022년 기반구축기 】영유아기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창의사고계발 기법 적용, 도서관 장서 기반 주제도서 선정, 도서관별 FIRST.L 모형에 근거한 프로그램 재구성을 함. 사서부모자원활동가 교육, 영유아실 공간과 시설 개선,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브랜드화함. ②【 2023-2025년 성과 확산기 】기반 구축기의 수행 내용 심화 및 각종 기관과의 연계 확대,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서부모자원활동가 연수 실시 및 정책적 지원 마련, FIRST.L을 공공도서관 특성화 프로그램의 근거로 하기 위한 브랜드 사업으로 확대 실시. # 연구결과물 중 하나인 [부록]FIRST.L 프로그램 매뉴얼은 업로드 용량 초과로 문헌정보실(우리원 3층)에 비치된책자 참조
2021-01-14 13:39:27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의학기술의 발달로 과거에 생존하지 못했던 많은 소아청소년들이 생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수의 이런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 이중 완치되지 않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학생들도 다수가 있으며 이런 학생들은 기저의 신체적 질환으로 인해 학교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현장에서 지도하는 교사들도 이런 건강보호학생들에 대한 관리 및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학교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필요한 대표적인 질환들을 가지고 있는 건강보호학생들에 대한 평가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서식을 개발해 학교내의 보건교사, 영양교사, 담임교사, 체육교사에게 제공한다면, 이런 위험에 있는 학생들을 조기에 인지하고 올바른 처치를 함으로써 학생들을 위기상황에서 구조할 수 있고, 이는 학생 및 교사 모두가 평안하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장병 및 급사, 알레르기 질환,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위험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및 진단 받은 환자들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표준화 된 지도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구 방법 기존의 국내외 건강조사 설문지, 가이드라인,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진표/지도표를 개발하고 이에 대해 학교 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평가하였다. 3. 연구 내용 심장병 및 급사, 알레르기 질환, 당뇨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문진표/지도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해서 학교 보건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학교 현장에서 건강보호 학생들을 관리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과 향후 필요한 점들에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4. 연구 결과 심장병/돌연사 위험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학교활동관리 지도표, 아나필락시스 위험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학교생활관리 지도표(알레르기 질환용), 당뇨 위험 학생 선별을 위한 문진표, 학교생활관리 지도표(당뇨용)을 개발하였으며, 응급심폐소생술의 중요사항과 아나필락시스의 응급처치, 고혈당/저혈당 응급처치 대응 지침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해 보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문진표/지도표에 대한 이해도, 유용성, 만족도에 대하여 평가하고, 피드백을 통해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5. 정책제언 ① 향후 본 연구의 표준서식지가 완성되고 검토를 거쳐서 각 학교에 제공되면 이를 활용하여 2차적으로 전문기관과의 연계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음. ② 학생-학교-전문기관을 연계한 복합적 건강보호 학생 관리 체계의 완성된 형태를 추후 모색해야 함. ③ 학교에서 건강보호 학생들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해당학생의 질병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해당질병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 ④ 교사들의 건강보호 학생 관리의 가장 어려운 점은 인력과 공간 부족으로 이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함.
2021-01-11 13:55:00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문화와 언어체험에 중점을 두는 미래형 교육공간의 창출을 목표로, 가평에 위치한 글로벌문화언어체험교육원(glee)의 새로운 운영체제 구축과 발전적 운영방안 및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제시하는 데에 있다. 영어중심의 교육기관이었던 가평영어교육원이 글로벌문화언어체험교육원으로 조직 개편이 되면서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의 정립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문화와 세계시민교육을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교육 공간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학교밖 다문화 및 세계시민교육 공간의 요구,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로운 형식의 교육에 대한 고민과 실천의 요구 등에 부응하는 교육기관으로서 glee의 청사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2.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현황파악, 사례조사, 문헌분석, 인식 및 요구조사, 전문가 포럼을 활용하였다. 국내외 유사 교육기관 운영현황조사 및 관련 자료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문화 역량과 세계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인 문화언어체험 교육의 방향과 미래형 교육기관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인식 및 요구조사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전문가포럼을 개최하여 성공적인 glee로서의 발전 방안의 도출을 도모하였다. 3. 연구 내용 미래형 문화언어 체험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glee가 수행해야할 핵심 역할을 파악하고 glee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또한 glee가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을 아우르며 동시에 미래교육의 새로운 공간이 되기 위한 조직 체제의 구축방안을 탐구하고 환경, 시설, 교육프로그램 등을 망라하는 발전적 운영방안을 구체적으로 탐구한다. 끝으로, 향후 glee의 위상제고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중장기계획 및 후속연구 주제를 모색한다. 4.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의 중심(hub)으로서 glee의 정체성을 제언하며, glee가 선제적으로 가진 인프라의 분석을 포함하여 본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언어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체험형 세계시민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방점을 둘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일반학생 뿐 아니라 차별화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외국 출생 다문화학생을 위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언한다. 또한, 초중등 교원의 세계시민교육 연수 및 힐링의 공간으로 활용을 제언한다. 새로운 glee의 조직구성 및 운영체제는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첫째, glee가 서울특별시교육청 직속기관으로 독립하여 인력 및 예산을 적절히 지원받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인력 외부공모, 자문위원회 구성, 역량강화 연수 등을 통해 전문적 인력을 확보하고 구성원의 역량개발에 힘써야 한다. 셋째, 현 조직을 교육부서, 행정부서, 대외협력부서로 개편하여 각 부서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한편, 협업의 문화를 정착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 생태, 기술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다양한 교육 플랫폼과 첨단 기술 장비(AR, VR, 인공지능 등)를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 미래형 세계시민교육 공간으로서 glee의 공간구축과 프로그램의 구성 예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5. 정책제언 1)glee가 현 학생교육원 분원이 아닌, 세계시민교육을 담당하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직속기관으로 독립하여 인력과 예산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함. 2)glee에서 중도입국생의 한국적응을 위한 집중교육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위탁 교육기관으로서 지정되어야 함. 3)glee의 운영자 및 구성원의 전문성강화를 위해 원장공모제, 전문지식을 갖추고 역량과 관심을 가지 자로 직원 고용 등의 제도적 변화가 필요함. 4)glee의 로드맵으로 제시한 구축기 (2020~2021년), 내실화 (2021~2023년), 국제화 (2023~2025년) 각 단계에 걸맞은 성장을 위한 정책연구 지원이 필요함.
2021-01-11 13:48:012020학년도 컨설팅장학지원단 컨설팅 사례집을 다음과 같이 탑재하오니, 각급 학교 및 기관에서는 컨설팅장학시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가. 자료명:『2020학년도 초중등컨설팅장학지원단 컨설팅 사례집』 나. 활용 방법 1) 단위학교: 2021학년도 컨설팅장학 계획, 시행시참고 2) 기관: 학교 현장 맞춤형 지원 방안 수립에 활용 3) 컨설팅장학지원단원: 학교현장 지원 전문성 역량 제고 자율 교재로 활용
2021-01-14 13:59:55교원연구활동- 초중등교과교육연구회 게시판은 초중등교과교육연구회 공지사항 및 운영 지원 안내 등의 자료를 탑재합니다. 기존 교과교육연구회별 운영 홈페이지는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셔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http://sun.ssem.or.kr/index.jsp?sso=ok 교과교육연구회 특수분야직무연수관련게시판은아래 사이트에서 이용하며 로그인 인증 후 연구회 회원의 연수 홍보글 게시및 읽기가 가능합니다. http://www.ssem.or.kr/edcRsrch/jobTrn/cmmEdcDta/cmmEdcDtaList.do?courseDataSe=g
2020-11-10 11:07:50체크카드를 이용한 강사료 지급시 아래의 방법을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1. 카드를 통한 ATM 이용등록 등록절차 : 신분증, 해당카드를 반드시 지참 후 가까운 농협에 내방하시어 현금카드등록요청(참고 : 개개인 거래상황에 따라 타행 이체수수료 발생가능성)2. 올원뱅크를 통한 거래 등록절차 : 본인명의 휴대폰에 앱 스토어(ios) 또는 플레이스토어(Google)에서 ‘올원뱅크’ 조회 설치 후 회원가입. 회원가입 시 계좌번호(농협 또는 타행)로 인증하거나 공인인증서로 인증가능. 가입 후 계좌 등록(+)후 조회 및 이체거래 가능.(참고 : 건당 50만원 이하로 이체 시 타행도 이체수수료 면제)
2020-07-29 00:00:00체크카드를 이용한 강사료 지급시 아래의 방법을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1. 카드를 통한 ATM 이용등록 등록절차 : 신분증, 해당카드를 반드시 지참 후 가까운 농협에 내방하시어 현금카드등록요청(참고 : 개개인 거래상황에 따라 타행 이체수수료 발생가능성)2. 올원뱅크를 통한 거래 등록절차 : 본인명의 휴대폰에 앱 스토어(ios) 또는 플레이스토어(Google)에서 ‘올원뱅크’ 조회 설치 후 회원가입. 회원가입 시 계좌번호(농협 또는 타행)로 인증하거나 공인인증서로 인증가능. 가입 후 계좌 등록(+)후 조회 및 이체거래 가능.(참고 : 건당 50만원 이하로 이체 시 타행도 이체수수료 면제)
2020-07-09 00:00:002020 컨설팅장학지원단 온라인 연수 자료집을 탑재합니다.이 연수는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유튜브채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2020-06-24 19:14:29집행내역을 누적하여 기록할 엑셀 서식 및 증빙자료보관을 위한 한글서식을 첨부합니다.(총무단 회의자료의 78~81서식에서 추가 보완된 양식입니다.)엑셀서식의 각 메모 내용을 꼭 참고하십시요.**** 2019년도 엑셀정산서식과 다르므로 2020년 보조금 정산서식을 반드시 사용하십시요. 1.노란색칸인 3행 서울00교과교육연구회명과 B23칸 총무, F23칸 회장성함 우선 기입하면 이후시트 자동 입력됨 2. 을 보조금액(노란색칸)과 집행내역 누적하여 입력하면는 자동계산입력됨3. 는 시트보호되어 있으므로 보호해제암호는 메모를 참고하십시요.** 정산서제출은 2021. 1월 말 예정이며 정산관련 증빙서류보관은 첨부된 한글서식을 이용하십시요. 감사합니다.
2020-06-15 00:00:005월 14일(목)에 실시한 2020학년도 학교평가 컨설팅단 연수자료입니다.1. 2020학년도 학교평가 컨설팅단 연수 (pdf 파일)2. 2020 학교평가 추진 방향 및 과제 안내 (ppt 파일)
2020-05-14 17:02:53'학교자치의 바탕을 이루는 학교평가'를 주제로 한 2020학년도 학교평가 홍보 동영상 자료입니다.1. 유투브 링크 주소: https://www.youtube.com/watch?v=R4prJ07JmQ4&t=22s2. 유투브 검색창에 '학교평가, 학교자치' 검색어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각급 학교에서 연수 시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20-02-14 10:51:512020 학교평가 가이드북 파일입니다.학교 업무에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20-02-13 20:43:262019년 10월에 실시했던 학교자체평가 역량 강화 연수 자료입니다.자료집에 다양한 분임별 토의·토론 기법들이 담겨 있으니,학교에서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19-10-28 09:16:582019년 4월 26일(금)에 진행된 학교평가 컨설팅단 워크숍 책자파일입니다.
2019-05-01 09:28:302019. 4. 29.(월) / 4. 30.(화) 15:30~17:00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 우면관에서 실시한2019학년도 학교평가 교감 및 담당 부장교사 연수의 PPT 자료입니다.
2019-05-01 09:23:16고등학교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과 서논술형평가문항(2)(국어, 영어, 수학)입니다.
2020-06-15 11:21:572020 고등학교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과 서논술형평가문항(사회, 과학) 부분입니다.
2020-06-15 11:00:01고등학교 편성운영 안내서 탑재합니다. 부록인 교사용 편성운영 안내 PPT도 같이 탑재하니 교사용 설명회 및 연수에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시 출처를 밝혀 주십시오.)
2020-06-15 07:49:402015 개정 교육과정 선택 과목 안내서(2020)를 첨부합니다.특히 부록 4인 엑셀 프로그램도 올리니선택 과목 안내서와 함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20-06-12 16:21:41교과통합수업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 지원자료(통합으로 그린 수업-평가 이야기) 고1-2 자료입니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19-09-11 11:02:18교과통합수업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 지원자료(통합으로 그린 수업-평가 이야기) 중3 자료입니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극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9-09-11 11: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