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전체메뉴
닫기

현장연구

학교현안 분석을 통해 현장요구에 맞는 과제를 선정하고 현장교원 중심으로 수행되는 연구

현장연구 상세 항목
제목 [서교연 2023-34] 2023 현장연구 결과보고서(고교학점제 운영 체제에서의 단위학교 내 수업 나눔 모형 개발)
작성자 방희경 작성일 2024-02-07
공공누리적용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가) 창작한 [서교연 2023-34] 2023 현장연구 결과보고서(고교학점제 운영 체제에서의 단위학교 내 수업 나눔 모형 개발)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미리보기 파일확장자 아이콘 [서교연 2023-34] 2023 현장연구 결과보고서(고교학점제 운영 체제에서의 단위학교 내 수업 나눔 모형 개발).pdf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025학년도부터 전면 시행 예정인 고교학점제 운영 체제에서는 교육의 다양화와 질적 제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데 비해, 이를 구현하기 위한 주요 기제로서 단위학교 내 수업 나눔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에 따른 다과목 지도 교사의 증가, 학사 운영의 복잡화 등으로 인해 그 여건이 더욱 열악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일반고등학교 교사들이 단위학교 내에서 좀 더 수월하면서도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전문성은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 나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한 수업 나눔 모형의 구성 요소 도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수업 나눔 모형 초안 개발, 전문가 평가를 통한 수업 나눔 모형의 내적 타당화, 현장 평가를 통한 수업 나눔 모형의 외적 타당화를 거쳐 최종 수업 나눔 모형을 완성하였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선행 문헌 고찰 전문가 협의회 내적 타당화
(전문가 평가)
외적 타당화
(현장 평가)
최종 모형 완성
     
모형 초안 개발 모형 타당화
 
3. 연구 내용 및 결과
선행 문헌 고찰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개발한 수업 나눔 모형 초안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평가를 통한 내적 타당도 검증과 현장 평가를 통한 외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업 나눔 모형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타당성, 적절성, 이해성, 유용성, 보편성 등 5개 항목에 대해 4점 척도로 실시한 내적 타당도 검증 결과, CVI 값은 5개 항목 모두 1.00, IRA 값은 1.00으로서 수업 나눔 모형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 나눔 모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 교원 9인을 대상으로 이해성, 유용성, 보편성 등 3개 항목에 대해 4점 척도로 실시한 외적 타당도 검증 결과 또한 CVI 값은 3개 항목 모두 1.00, IRA 값은 1.00으로서 수업 나눔 모형의 현장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내용 타당도 지수(CVI) 값이 .80 이상이면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하고, 평가자 간 일치도(IRA) 값이 .80 이상이면 전문자 간의 평가를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내적, 외적 타당화 과정에서 제안된 기타 의견 가운데 유의미한 내용을 추출하고 반영하여 최종 완성한 고교학점제 운영 체제에서의 단위학교 내 수업 나눔 모형은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 내 자발적 수업 나눔 내실화 모형교과협의회를 통한 학교 내 제도적 수업 나눔 활성화 모형으로 구분된다. 모형 은 교원학습공동체에 더 많은 자율성을 보장하되 더 체계적이고 촘촘한 학교 차원의 지원을 통해 보다 높은 질적 수준까지 성장을 담보하고자 하는 것이며, 모형 는 교육과정-수업-평가 관련 교과협의회의 역할을 더욱 체계화하여 권한과 책임을 강화하고, 낮은 수준의 수업 나눔이라도 의무화하여 고교학점제 운영 체제에서의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질을 어느 정도 담보하자는 취지이다. 개발한 수업 나눔 모형의 각 단계별 비전과 주요 과업은 다음과 같다.
구분 단계 비전 주요 과업
모형 ①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 내 자발적 수업 나눔 내실화 모형)
1단계
(도입기)
재미가 있고 의미도 있는 수업 중심 대화를 활성화하기 ? 자율연수
? 다양한 수업 대화
? 학교 단위 나눔
2단계
(발달기)
함께 연구하고 같이 실천하며, 모두가 수업 전문가 되기 ? 자율연수
? 수업 공동 디자인 ? 수업 관찰 및 비평
? 학교 단위 나눔
3단계
(성숙기)
협력적 수업 나눔을 일상으로 실천하고 학교교육과정을 공동으로 개발하며, 지속성 확보하기 ? 자율연수
? 수업 관찰 및 비평 ? 교과 융합 프로젝트 수업
? 학교교육과정 개발 ? 지역사회 연계·협력
? 학교 안팎에서의 나눔
모형 ②
(교과
협의회를 통한
학교 내 제도적 수업 나눔 활성화 모형)
1단계
(도입기)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충실화 및 일체화 ? 기존의 교과협의회 역할 충실 및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추진
2단계
(발달기)
학교교육과정(교과) 운영 체계화와 교과협의회를 통한 수업 나눔 실천 ? 학교교육과정(교과) 운영 계획 수립·추진
? 대단원별 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과 실행 과정 나눔
3단계
(성숙기)
‘학교교육과정(교과) 운영과 교과협의회를 통한 수업 나눔’ 질적 제고 및 지속성 확보 ? 학교교육과정(교과) 운영 계획 질적 심화
? 대단원별 교수-학습·평가 계획·실행 나눔 지속 및 수업 공동 디자인
 
4. 정책 제언
개발한 수업 나눔 모형에서 제안하고 있는 단계별 절차와 과업의 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운영 방식이나 사례, 관련 서식 등을 담은 매뉴얼이나 안내자료 추가 개발ㆍ보급
개발한 수업 나눔 모형을 일부 단위학교에 실제 적용하는 참여 관찰형 후속 연구 진행
단위학교 내에서 교육과정-수업-평가를 중심으로 상시 연구하고 선도할 수 있는 리더 교사 그룹을 양성하고, 이들의 역할 수행을 지원하는 제도 마련 및 확충 필요
일반고등학교의 교과교육 업무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 확대
  • 담당부서   교육정책연구소
  • 담당자   정윤숙
  • 전화   02-3111-30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