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전체메뉴
닫기

위탁연구

서울교육방향 추진 및 전략과제 해결을 위해 전문연구기관에 위탁하여 수행되는 연구

위탁연구 상세 항목
카테고리
제목 [서교연2020-27]2020 위탁연구(초3~6 협력적 창의지성·감성 교육과정 운영 성과 분석을 통한 교실혁신의 변화 양상과 지원 방안 모색 연구) 최종보고서
작성자 천주영 작성일 2021-01-14
공공누리적용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가) 창작한 [서교연2020-27]2020 위탁연구(초3~6 협력적 창의지성·감성 교육과정 운영 성과 분석을 통한 교실혁신의 변화 양상과 지원 방안 모색 연구) 최종보고서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미리보기 파일확장자 아이콘 [서교연2020-27]2020 위탁연구(초3~6 협력적 창의지성·감성 교육과정 운영 성과 분석을 통한 교실혁신의 변화 양상과 지원 방안 모색 연구) 최종보고서.pdf
정책연구보고서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200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지원과의 주된 정책 과제로 실행되고 있는3~6 협력적 창의지성ㆍ감성 교육과정’(이하 [꿈실]) 운영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속발전가능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3~6 협력적 창의지성ㆍ감성 교육과정은 서울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학생참여선택활동협력적 프로젝트 활동중심의 교실 혁신 정책이다. 특히 혁신학교의 성과를 반성적으로 수용하고, 학교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상향식 혁신(bottom-up innovation)의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년차에 접어든 [꿈실]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고 향후 발전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꿈실] 교실 혁신 정책의 실행 성과분석을 위하여 정책체계(Policy System)의 차원에서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평가, 환류의 측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형성집행평가환류의 순차적 측면과 아울러 학교현장의 안팎의 상황과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따른 영향 등도 함께 살피고자 하였다. 정책연구를 위해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고, 설문조사, 본청 자문단 및 교육지원청 현장지원단 FGI(Focus Group Interview), 교장, 교사, 교원전문직 등과 함께 전문가협의회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였다.
 
3. 연구 내용
2020학년도 [꿈실] 정책의 변화 지점을 분석하고, [꿈실] 운영 교사들의 운영 실태를 학급수, 공모주제, COVID-19로 인한 주제 및 예산 변경 사례를 분석했다. [꿈실] 운영 교사들의 인식 분석은 운영 동기, 학생참여선택활동과 협력적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 학습자의 변화 양상, 운영 교사의 변화 양상, 차기년도 신청 의사 등을 살폈다. 본청 자문단과 교육지원청 지원단의 활동과 개인 운영 및 팀 운영 사례를 분석했다.
 
4. 연구 결과
2019~202학년도 [꿈실] 운영의 성과는 첫째, 프로젝트학습의 저변확대에 기여하였다. 2020학년도의 [꿈실] 운영학급수는 5674학급(1550)으로 작년보다 2376학급이 늘어난 수치이다. COVID-19 상황에서도 주제와 예산 변경없이 [꿈실]을 운영한 교사가 대부분이었다. [꿈실] 운영계획서 내용에서도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생들이 등교수업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급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꿈실] 활동이 전화위복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현장 교사들의 협력 문화를 성장시켰다. 2020학년도 [꿈실] 운영 교사의 60%가 동학년을 포함한 주변의 권유로 시작하였으며, 운영 후에도 만족감도 높았다. 차기년도 운영 희망 여부도 2019년도의 87.0%에서 90.7%로 상승했다. 셋째,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성이 신장되었다. [꿈실] 운영 교사들이 관찰한 학생들의 변화로 자신감과 내적 동기 향상, 협업능력이나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넷째, 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신뢰감이 확산되었다. 공문이나 안내자료를 보고 [꿈실]을 신청한 교사들보다 동학년의 권유와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꿈실]을 운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특히 교사들이 [꿈실]에 대한 인식은 기회, 가능성, 즐거운, 자유, 소통, 행복, 도전 등과 같은 긍정적인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예산 사용의 수월성을 확보하거나, 운영학급 상황이나 주제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대한 요구도 의미있는 제안으로 도출되었다. 2019학년도 [꿈실] 운영은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인식하는 출발점이자 도약발전을 위한 교두보였다면, 2020학년도는 프로젝트학습의 가치를 인식하고 교사들의 교육철학이나 태도를 변화시키는 내면화의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5. 정책제언
[꿈실] 지원 학급 확대를 통해 학교현장의 협력적 교사 문화를 정착·발전시켜야 함.
교사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넛지(Nudge) 방식 지원을 강화해야 함.
프로젝트학습에 따른 피드백 방법과 학생참여형 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교실의 물리적 환경 변화와 원격수업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함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담당부서   교육정책연구소
  • 담당자   방희경
  • 전화   02-3111-30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