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전체메뉴
닫기

현장연구

학교현안 분석을 통해 현장요구에 맞는 과제를 선정하고 현장교원 중심으로 수행되는 연구

현장연구 상세 항목
카테고리
제목 [서교연2020-40]2020 현장연구 최종보고서(학교폭력 학교장 자체해결 과정에서 관계회복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연구-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작성자 천주영 작성일 2020-12-31
공공누리적용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가) 창작한 [서교연2020-40]2020 현장연구 최종보고서(학교폭력 학교장 자체해결 과정에서 관계회복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연구-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미리보기 파일확장자 아이콘 [서교연2020-40]2020 현장연구 최종보고서(학교폭력 학교장 자체해결 과정에서 관계회복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연구-초등학교를 중심으로).pdf
정책연구보고서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 목적
첫째, 학교폭력 및 또래갈등 사안을 유형화하여 그에 따른 관계회복 프로그램실행 과정을 마련한다. 둘째, 유형화 된 관계회복 프로그램에서 학교구성원(교장, 교감, 책임교사, 담임교사, 상담교사 등)의 역할을 구체화하여 현장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셋째, 학생 간 관계회복 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관계회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인다.
2) 연구 필요성
관계회복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력을 높임으로써 학교폭력 학교장 자체해결 과정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2. 연구 방법
1) 설문조사: 연구팀원 소속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이 주로 경험하는 갈등사례를 종합하였다.
2) 표적집단 심층면접: 연구팀원 소속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을 모집하여 연구문제 2,3,4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3) 연구진 합의: 연구진들 간 합의를 거쳐 갈등을 유형화하고 심층면접 결과를 분석하였다.
4) 그 밖에도 연구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관련 내용에 대한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 연수 및 전문가 자문 등을 실시하였다.
 
3.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첫째, 초등학교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한 사안은 어떻게 유형화 되는가?, 둘째, 초등학교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사안의 유형에 따른 구성원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에서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실행과정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넷째, 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 사안 또는 또래갈등 발생 시 관계회복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높일 전략은 무엇인가? 이렇게 네 개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4. 연구 결과
1) 갈등유형화: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갈등빈도(지속성), 당사자간 힘의 균형을 기준으로 유형화하였다.
2) 관계회복 프로그램 진행시 구성원의 역할: 심층면접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각각의 구성원들(담임교사, 상담전문가, 학교폭력담당교사)이 담당했을 경우의 이점과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3) 유형에 따른 실행과정: 심층면접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갈등빈도, 힘의 균형에 따른 유형별 세부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4) 참여 동기 향상 전략: 심층면접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참여 동기 향상 전략을 프로그램 홍보, 제안, 진행 3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5. 정책 제언
1) 학교폭력 관련 매뉴얼(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등)에 관계회복 내용을 구체화하고 학교 내 관계회복 조정기구를 마련해야함.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운영할 수 있는 지침을 주고 학교 내에서도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제반 사항 지원이 필요함.
2) 관계회복 프로그램 전문 교사를 양성해야 함. 단순히 업무적인 프로그램 운영자가 아닌 관계문제에 대한 철학을 갖추고 어렵고 복잡한 갈등에 개입하여 관계회복을 도울 수 있는 전문 교사가 필요함.
3) 프로그램의 보완과 다양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지원해야 함. 프로그램 참여를 제안하는 사전면담과정, 학생 및 학부모의 동의과정, 프로그램 명칭, 사례/학년/유형별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시급함.
4) 학교폭력 이전 단계의 갈등문제에 활용 가능하도록 교육과정화 해야 함. 학교폭력 사안이 아닌 일반적인 갈등문제에도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학년별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창체 등 인성교육에 활용하도록 교육과정화 한다면 학교폭력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임.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담당부서   교육정책연구소
  • 담당자   방희경
  • 전화   02-3111-30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