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전체메뉴
닫기

위탁연구

서울교육방향 추진 및 전략과제 해결을 위해 전문연구기관에 위탁하여 수행되는 연구

위탁연구 상세 항목
제목 [서교연 2022-29]위탁연구(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 분석)보고서
작성자 박옥선 작성일 2023-01-30
공공누리적용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가) 창작한 [서교연 2022-29]위탁연구(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 분석)보고서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파일확장자 아이콘 [서교연 2022-29]위탁연구(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 분석)보고서.pdf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디지털 기술에 의한 사회 변화로 미래 세대를 위한 교수학습 변화 요구가 증대하였다.
학교 수업 시간에 학생과 함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는 비율을 OECD 평균 수준 이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코로나19 극복과 미래 교육을 위해 2022년 개시된 서울시교육청의 디벗 사업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개선과제 및 새로운 정책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스마트기기 관련 논문, 보고서, 언론 보도 등의 문헌연구를 통한 정책을 조사하였다.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휴대용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 활용 역량, 인식에 대한 정량 조사를 1,2차 두 시점에 걸쳐 진행하였다.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휴대용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 활용 역량, 인식에 대한 1차 정량 조사를 실시하고, 디지털 교육을 통한 일정 수준의 개입 후 2차 정량 조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자칠판은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전자칠판 활용 실태와 인식을 한 차례 정량 조사로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관찰 조사를 통해 실제 전자칠판 활용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발견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였다.
정량 조사 후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월드카페 방식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정량 조사의 내용을 검증하고 결과의 원인을 파악하였으며, 필요 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3. 연구 내용
국내외 정책, 선행연구, 국내외 사례 등 문헌연구를 통한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휴대용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 실태, 디지털 역량 및 디벗 활용 역량, 디벗 관련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전자칠판 활용 학습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의 개선과제를 도출하였다.
 
4. 연구 결과
국내외 정책, 선행연구,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이 학습 동기 및 만족도, 사고력, 학습 능력 향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 흥미 유발과 학습 참여도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일반조사와 심층조사를 통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이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성적 향상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자칠판이 수업 집중도 향상 및 수업 효율성 향상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디벗과 전자칠판은 씨줄과 날줄의 관계로 병행하여 연계 수업 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스마트기기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체계와 3CR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장기 목표와 전략 하에 실효성 있는 사업 운영, 기술적 제약 극복을 위한 방안, 스마트기기 교육을 위한 콘텐츠 확보, 스마트기기의 혁신적 활용을 위한 교육 및 연수, 전자칠판과 디벗을 연계한 예산 수립 등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서교연 2022-28]위탁연구(스마트기기 휴대 학습의 중장기 운영 방안) 보고서
  • 담당부서   교육정책연구소
  • 담당자   박옥선
  • 전화   02-3111-304
TOP